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Aspect of the Pohang Chilpori and Shinheungri Petroglyphs

포항 칠포리 I지구와 신흥리 암각화의 암석학적 특징과 훼손양상 분석

  • Lee, Sang-Hun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Gi-Ju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08.13
  • Accepted : 2009.12.02
  • Published : 2009.12.20

Abstract

The Pohang Chilpori is the area with abundant petroglyphs in Korea. The form of the shield, female sex organs, and yut board on the outcrops or float rocks which are composed of the rhyolitic rock are engraved on Chilpori and Shinheungri Petroglyphs. The rhyolitic rock is composed of the phenocryst and groundmass with quartz and feldspar. The rock surface shows mostly yellowish brown color and the rock surface is very irregular by serious weathering, and illite and kaolinite, a kind of the clay minerals, are produced. Deterioration aspects are mainly of surface exfoliation, grain peel-off, damages, scribbling. Chilpori Petroglyph (1) plane has been eroded by running water, in (2) plane has been abrased is on the rock surface, in (3) plane shows surface exfoliation and the various part of the rock surface in plane (4) has become the soil. The corrasion and black phenomenon of the Shinheungri Petroglyph (1) plane was formed by running water, and surface exfoliation and scribbling in plane (2) is serious. Deterioration factors are geomorphologic states, plants, rock of weak to weathering, and artificial influence such as a scribbling and a forest fire. For conservation of the these petroglyphs, study for rock surface conservation and the arrangement of around petroglyphs and construction of water wall are necessary.

포항 칠포리 지역의 암각화는 한반도에서 암각화의 도상이 가장 많고 넓게 분포하는 곳이다. 포항 칠포리와 신흥리 암각화는 석영과 장석이 반정과 기질로 산출되는 유문암질암인 암반과 전석에 방패형, 여성성기형, 윷판형 등의 그림이 새겨져있다. 암석의 표면은 황갈색을 띠며 심한 풍화에 의해 불규칙한 요철 양상을 보이고 점토광물로는 일라이트와 고령토가 산출된다. 이들 점토광물과 수용성 염성분에 의해 표면박리와 입자박락 현상이 발달되어진다. 훼손양상은 주로 표면박리, 입자박락, 파손 및 낙서 등이다. 칠포리 암각화의 1면은 강수에 의한 침식이, 2면은 표면의 마모현상이, 3면은 표면박리현상이, 그리고 4면은 토양화가 심하다. 신흥리 암각화의 1면은 강수에 의한 마식현상과 흑화현상이, 2면은 표면박리와 낙서가 심하다. 훼손요인은 지형, 식생, 풍화에 비교적 약한 암상 및 인위적 영향(음각 낙서와 산불 등)등 이다. 보존을 위해서는 약해진 표면층의 보존처리와 주변 환경의 정리 및 차수벽의 설치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하우, "칠포리 암각화의 18년과 오늘의 현상". 한국암각화학회, 9, p35-56, (2006).
  2. 송화섭, "포항 칠포리의 생식기 암각화". 한국암각화학회, 7, p45-66, (2006).
  3. 장명수, "한국 암각화의 형식분류와 문화특성". 한국암각화학회, 11, p1-28, (2007).
  4. 한영철, "영일.경주지역의 암각화". 한국의 암각화, 한길사, p99-112, (1997).
  5. 한국암각화학회, 포항시, "포항시 칠포.신흥리 암각화 군 지표조사보고서". p21-52, (2007).
  6. 엄상호, 이동우, 박봉순, 1:50,000 포항 도폭 설명서, p21,국립지질조사소, (1964)
  7.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의 풍화특성과 불연속면의 안정성 해석". 지질학회지, 41, p401-413, (2005).
  8. 최기주, 이상헌, "고령 양전동암각화의 암석학적 특징과 훼손양상 분석". 보존과학회지, 25, p131-145, (2009).
  9. 도진영, 임권웅, "수용성 염이 석조문화재 박리현상에 미치는 영향". 보존과학회지, 22, p121-134, (2008).
  10. 이상헌, "국내석조문화재의 보전 대책수립을 위한 지질학적 고찰". 보존과학회지, 9, p9-18, (1998).
  11. 이상헌, "석굴암을 이루는 암석의 풍화현상". 보존과학회지, 11, p1-9, (1999).
  12. T. Zoltai and J. H. Stout, "Mineralogy". Burgess,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