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성장클리닉에 내원한 소아의 골연령과 체성분 및 신체 계측치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 Lee, Yu-Jin (Department of pediatrics,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Yun, Hye-Jin (Department of pediatrics,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Kwak, Min-A (Department of pediatrics,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Baek, Jung-Han (Department of pediatrics,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이유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비계내과학교실) ;
  • 윤혜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비계내과학교실) ;
  • 곽민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비계내과학교실) ;
  • 백정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비계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to make efficient clinical reviews on children's growth. Methods : 157 of children in age of 3 years to 16 years old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88 of boys and 69 of girls). They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O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and were measured their body composition and bone age. Results : 1. An age and bone age,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also a bone age and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positively correlated. 2. The level of soft lean mass, body fat mass, and MPH were increased in boys in higher height percentile. Children's predicted adult height was higher in children in higher height percentile. 3. The level of body fat mass was increased as weight percentile increased. Bone age, MPH was increased as weight percentile increased, especially in case of boys. In girl's case, the level of soft lean mass, their predicted adult height,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bone age and their actual age was increased as weight percentile increased. Conclusions : Measuring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is the effective way to estimate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김덕희. 성장호르몬의 성장 촉진 및 대사효과. 대한소아과학회. 2000;43(2):165-71.
  2. 조형준, 정성민, 김덕곤, 이진용. 한약투여가 소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4;18(2):119-26.
  3.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박은정, 백정한, 이승연, 이진용, 장규태. 동의소아과학.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2:27-8, 59-63, 718-26.
  4. 王伯岳. 中醫兒科學.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83:34-5, 176-84, 570-88.
  5. 杜鎬京. 東醫腎系學. 서울:동양의학연구원. 1991:832-3.
  6. 이동현. 성장장애아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 학술집담회 논문집. 1997:12-25.
  7. 許浚. 東醫寶鑑. 서울:남산당. 1986:72, 645-8, 651-3.
  8. 양세원. 최근 성장장애에서 성장호르몬 치료. 대한내분비학회지. 2003;18:561-70.
  9. 구은정, 김덕곤. 보양성장탕이 생쥐와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16(1):149-69.
  10. 김장현. 성장장애에 관한 임상적 연구(1).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8;12(1):95-110.
  11. 이동현, 김덕곤. 성장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의 치료효과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998;12(1):145-62.
  12. 박승만. 한방성장촉진제에 대한 임상보고서.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1;15(1):195-202.
  13. 이지영, 정민정, 최지명, 유선애, 이승연. 성장장애에 관한 임상연구의 최근 동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7;21(1):155-71.
  14. Tamura K, Akiyama T, Taguchi A, Fujikawa H, Saitch H, Tanaihara T. Measurement of bone density by ultrasound bone densitometer in normal pregnant women. Nippon Sanka Fujinka Gakkai Zasshi. 1996;48(11):1079-84.
  15. Strelitzki, R., Clarke, A. J., and Evans, J. A. The measurement of the velocity of ultrasound in fixed trabecular bone using broadband pulses and single frequency tone bursts. Physics in Med. Biol. 1996;41(4):743-53. https://doi.org/10.1088/0031-9155/41/4/010
  16. 서영민, 장규태, 김장현. 종골의 초음파영상을 통한 소아성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3;17(2):1-13.
  17. 김명기, 김성수, 김차용. 부위별 생체 전기 임피던스와 피부두겹집기 측정을 이용한 비만아동과 정상아동의 체성분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98;451-62.
  18. 홍성철, 이상이, 현인숙. 제주시 일부 초,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성분 조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02;28(2):149-57.
  19. 김정기, 박승한, 류호상, 김규호, 허용, 마명락, 이채형, 김진형. 10-12세 남자아동들의 체성분 분석과 추정 회귀식 개발. 한국스포츠리서치. 2005;16(4):671-80.
  20. 서희연, 한재경, 김윤희. 비만과 골성숙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2):19-35
  21. 대한소아과학회보건통계위원회. 2007년 한국 소아 및 청소년 신체 발육 표준치 세부자료. 2007.
  22. 김상후, 김형준, 한은옥, 한승무. 어린이 성장판 영상화를 위한 초음파와 X-선 방식의 비교 평가. 의공학회지. 2004;25(6):551-6.
  2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학.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247-65.
  24. 최영길. 내분비학. 서울:의학추란사. 1994:601-26.
  25. Rosenfeld RG. Disorders of growth hormone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secretion and action. In: Sperling amAed. Pediatric Endocrinology. Philadelphia;WB Saunders Co. 2002:116-69.
  26. 류성룡, 이윤호, 박동석. 성장장애의 침구 치료에 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7;24(1):29-38.
  27. Wilcox WD, Nieburg P, Miller DS. Failure to thrive:A continuing problem of definition. Clin pediatr. 1989;28:391-4. https://doi.org/10.1177/000992288902800901
  28. 이근. 非器質的인 成長障碍 患兒에 관한 연구. 대한내분비학회지. 1996;37(4):263-7.
  29. 정연희. 成長障碍에 關한 文獻的 考察. 대한소아과학회지. 1999;13(1):30-5.
  30. 박보국. 병인병기학. 서울:성보사. 1992:397-410,504-17.
  31. Smith RJ. Misuse of handwrist sadiograph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85;88:273. https://doi.org/10.1016/0002-9416(85)90126-5
  32. 이영미, 김광원, 윤영주. 치아성숙도와 골성숙도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2000;30(2):143.
  33. 김경호, 성상진, 박소연. 경추골과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골성숙도 평가. 대치교정지. 1998;28(2):285.
  34. Greuclich WW. & Pyle SI. Radiographic atlas of skeletal development of the hand wrist. Standford:Standford University Press. 1959.
  35. 송종국, 유승희, 손두옥. Tanner-Whitehouse 방법에 의한 유.청소년들의 연령별 골격 성숙도와 성인 신장의 추정. 한국체육학회지. 1998;37(3):220-41.
  36. 김세영, 양세원. 골연령 측정에서 Greulich-Pile 법과 Tanner-Whitehouse 법의 비교분석. 대한내분비학회지. 1998;13(2):198-204.
  37. 옥도훈. 성장기 체중 표준(표준발육치) 설정에 관한 고찰. 전국 한의학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96:350-60.
  38. 서정민, 이유진, 윤혜진, 강미선, 백정한. 소아의 사상체질별 신체 특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Zema21을 통한 체질분석 및 체성분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9;23(1):173-93.
  39. 윤경희, 고덕재, 유한정, 이진용, 김덕곤. 완관절 초음파통과속도를 이용한 골연령 측정값과 X-ray영상을 이용한 골연령 측정값의 비교.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2):165-74.
  40. 윤혜진, 서정민, 강미선, 백정한. 수완부골의 X-ray 영상 및 종골의 초음파 영상에서 측정한 골연령을 통한 소아성장에 관한 임상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2):155-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