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n Growth of Children Based on Analyzing Body compositions And Measuring Bone Age

체성분 분석과 골연령 측정을 통한 취학 전 아동의 성장에 대한 임상연구

  • Yun, Hye-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Lee, Yu-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Han, Baek-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윤혜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유진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백정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better data and to make efficient clinical reviews on pre-school children's growth based on two measurements; Body composition for measuring body volume and bone age for potential growth.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21 children(118 of boys and 103 of girls) from three kindergartens. Body compositions(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were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one age was measured by bone density through ultrasonic image of calcaneus. Results and Conclusions : 1. The higher level on weight or BMI, the more averages of 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2. The average bone ages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were lower in under 50 percentile's group, but it was higher in upper 50 percentile's group. Also, children with high BMI had older in bone ages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3. The higher in height percentile based on the bone age; there were more soft lean mass. 4. The averages of bone age and bone age-chronological ag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ore percentiles of height according to bone age were big, they were higher than total average in under 50 percentile's group of height, lower than total average in over 50 percentile's group of height in both boys and girls. 5. The average of MPH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op percentiles of children's height distribution. Also, in the upper percentiles of height distribution based on bone age were big in only boys. 6. The body compositions(soft lean mass, body fat mass, percent body fat) were related to body volume growth, which can he measured by weight or BMI. The bone age, bone age-chronological age, and MPH were related in terms of hight. The body volume growth was a little hit related with potential growth.

Keywords

References

  1. 홍창의. 소아과학,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22, 31.
  2. 최영길. 내분비학. 서울:의학출판사. 1995:601-26.
  3. Tanner JM, Whitehouse RH, Cameron N, Marshall WA, Healy MJR & Goldstein H. Assessment of skeletal maturity and prediction of adult height(TW2 method). London:Academic Press. 1975.
  4. Greuclich WW. & Pyle SI. Radiographic atlas of skeletal development of the hand wrist. Standford:Standford University Press. 1959.
  5. 송종국, 유승희, 손두옥. Tanner-Whitehouse 방법에 의한 유.청소년들의 연령별 골격 성숙도와 성인 신장의 추정. 한국체육학회지. 1998;37(3):220-41.
  6. 유승희. 초등학생의 골격성숙도와 성인시 신장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1999;38(4):665-77.
  7. Tamura K, Akiyama T, Taguchi A, Fujikawa H, Saitch H, Tanaihara T. Measurement of bone density by ultrasound bone denditometer in normal pregnant women. Nippon Sanka Fujinka Gakkai Zasshi. 1996;48(1):1079.
  8. 김세영, 양세원. 골연령 측정에서 Greulich-Pile법과 Tanner-Whitehouse법의 비교분석. 대한내분비학회지. 1998;13(2):198-204.
  9. Han SM, Kim SH. A comparison of ultrasonic and X-ray methods for imaging the growth plate. Pro Inst Mech Eng [H]. 2005; 219(4):285-92.
  10. 서영민, 장규태, 김장현. 종골의 초음파영상을 통한 소아성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3;17(2):1-13.
  11. 김상후, 김형준, 한은옥, 한승무. 어린이 성장판 영상화를 위한 초음파와 X-선 방식의 비교 평가. 의공학회지. 2004;25(6):551-6.
  12. 윤경희, 고덕재, 유한정, 이진용, 김덕곤. 완관절 초음파통과속도를 이용한 골연령 측정값과 X-ray영상을 이용한 골연령 측정값의 비교.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2):165-74.
  13. 김명기, 김성수, 김차용. 부위별 생체 전기 임피던스와 피부두겹집기 측정을 이용한 비만아동과 정상아동의 체성분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98;9:451-62.
  14. 홍성철, 이상이, 현인숙. 제주시 일부 초,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성분 조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02;28(2):149-57.
  15. 김정기, 박승한, 류호상, 김규호, 허용, 마명락, 이채형, 김진형. 10-12세 남자아동들의 체성분 분석과 추정 회귀식 개발. 한국스포츠리서치. 2005;16(4):671-80.
  16. 이홍미. 포천지역 10-11세 어린이들의 비만정도에 따른 체성분 분석. 대진논총. 1999;7:245-55.
  17. 서희연, 한재경, 김윤희. 비만과 골성숙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2):19-35.
  18. 손정민, 김정희, 신선영, 차기철.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을 이용한 소아의 체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1;6(3):430-1.
  19. 대한소아과학회보건통계위원회. 2007년 한국 소아 및 청소년 신체 발육 표준치 세부자료. 2007.
  20. 김태운, 박태곤.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절사값에 따른 여중생의 비만도와 체지방률 추정. 한국체육학회지. 2004;43(2).463-71.
  21. 蔡化理. 小兒雜病回春新方. 중국:북경과학기술출판사. 1993:1-12, 61-98.
  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학.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247-65.
  23. 김덕곤, 김윤희, 김장현, 박은정, 백정한, 이승연, 이진용, 장규태. 동의소아과학. 서울:정담. 2002:27-8.
  24. Welsman JR & Kirby BJ. Submaximal exercise and maturation in 12 years olds. J Sports Sci. 1999;17(2):107-14. https://doi.org/10.1080/026404199366208
  25. 王伯岳. 中醫兒科學.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83:34-5, 176-84, 570-88.
  26. 김완희. 장부변증논치. 서울:성보사. 1985:129-30,139-327.
  27. 萬全. 幼科發揮大全.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6:7-8,24,86-8.
  28. 홍옥순 역 : 해부생리. 서울:삼화인쇄(주). 1967:40-2.
  29. 송윤주, 정효지, 김영남, 백희영. 서울 지역 일부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발달 및 식생활 비교 연구: 체조성 변화와 비만실태. 한국영양학회. 2006;39(1):44-9.
  30. 배윤정, 김은영, 조혜경, 김미현, 최미경, 성미경, 송정자. 비만아동의 식습관 및 영양 섭취상태와 골밀도와의 관련성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6;11(1):14-24.
  31. 김현준, 이광무, 신기옥. 12주 복합운동에 따른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신체구성과 골밀도 변화의 상관관계. 운동과학. 2007;16(3):253-62.
  32. 윤혜진, 서정민, 강미선, 백정한. 수완부골의 X-ray 영상 및 종골의 초음파 영상에서 측정한 골연령을 통한 소아성장에 관한 임상연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8;22(2):15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