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Applied to the Acupuncture of Pathogenic Fire

화열병(火熱病) 침구치료 시 적용 가능한 한방음악치료에 관한 연구

  • Kim, Yeo-Jin (Dept.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Center,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 Hee University) ;
  • Lee, Seung-Hyun (Dept.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Center,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 Hee University)
  • 김여진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음악치료센터) ;
  • 이승현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한방음악치료센터)
  • Published : 2009.06.20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during the acupuncture of pathogenic fire.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acupuncture points of pathogenic fire and the methodology of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Results : During the acupuncture of pathogenic fire, patients listen to proper music and after withdrawing of acupuncture, patients play the musical instrument. The patients with the case of fire due to affection by exopathogen, the method of dispelling superficial fire can be used through playing percussion instruments. The case of patients with the fire of five organ, the Five Phases music can be used properly. Conclusions : This study describes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has a good possibility as a treatment of pathogenic fire with acupuncture.

Keywords

References

  1. 輔喜旭. 劉完素의 醫學思想에 關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6.
  2. 金知權. 難經 第七十五難을 中心으로 한 金元四大 家의 火熱論에 대한 文歡的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心系內科學. 서울 : 군자출판사. 2006 : 114.
  4.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 東洋醫學硏究院. 1985 : 23, 116, 119-20, 213, 218.
  5.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 東洋醫學硏究院. 1985 : 115, 130, 138-9, 297, 316.
  6. 조종현, 안성훈, 손인철. 침의 염증 제어 기전에 관한 최근 견해. 경락경혈학회지 2008 ; 25(2) : 43-55.
  7. 이승현. 한방음악치료학. 서울 : 군자출판사. 2008: 26-9, 67, 70, 82-3, 86, 110-1, 115.
  8. 이승현, 김여진. 淸熱音樂療法을 適用하는 韓方音樂治療에 관한 硏究.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008; 22(2) : 285-92.
  9. 司空熙贊. 사암침법의 화열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전국한의과대학 한방병리학교실. 동의병리학. 서울 : 일중사. 1999.400.
  11.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鍼灸學 下. 경기도 : 집문당. 2008 : 344, 346-7.
  12. 康銷彬. 경전침구학. 서울 : 일중사. 2000 : 426-40.
  13. 허준. 對譯東醫寶鑑. 서울 : 법인문화사. 2002 : 600-3, 1125.
  14. 소재진. 현토역해 침구대성 1. 경기도 : 대성의학사. 2007 : 52-9.
  15. 정미경, 윤종화, 박현국, 김기욱, 장민기, 이승덕, 김갑성.<黃帝內經>의 熱病 治療穴 과 防風通聖散의 이론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5) : 1-16.
  16. 이준근. 黃帝內經 素問 中 瀉血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논문.2007.
  17. 이승현, 백상용. 생명율동과 성음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방음악치료의 이론 연구 I.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2002 ; 8(1) : 32-3.
  18.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鍼灸學 中. 경기도 : 집문당. 2008 : 277-8, 282.
  19. 유선숙. 음악활동이 성인의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4.
  20. 윤창준, 류헌식, 송미연, 신현대. 두 가지 장단의 국악연주가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 ; 17(3) : 135-45.
  21. 이승현, 박경수, 신현대. 뇌경색 환자에게 실행한 한방음악치료 前後의 Ink Foot Print Analysis 1 예.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08 ; 18(3) : 14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