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linical Study on 2 Cases of Secondary Amenorrhea diagnosed as hypothalamic-pituitary failure

시상하부-뇌하수체 기능 부전으로 진단받은 속발성(續發性) 무월경(無月經) 환자 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 위효선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조정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교실)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Purpose: To report the effect of oriental medicine on 2 patients with secondary amenorrhea diagnosed as hypothalamic-pituitary failure. Methods: The patients who had secondary amenorrhea were treated with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s such as herbal medication, herbal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rapy, and so forth. Results: After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s, the patients could have their periods again, their menstrual condition was improved. Conclusion: This case report shows that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is effective for treating secondary amenorrhea diagnosed as hypothalamic-pituitary failure.

Keywords

References

  1.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행림출판사. 1994:182.
  2.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제 4판. 서울:고려의학. 2008:248, 325-54, 362-71.
  3. 채희동 등. 무월경 여성에서의 원인적 분류에 따른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1999;42(5):975-80.
  4. 황정혜. 무월경의 진단과 치료. 대한산부인과학회 연수강좌. 2004;102-12.
  5. 이유리 등. 經閉에 關한 文獻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2;5(1):1-25.
  6. 이진무, 이경섭, 송병기. 經閉(無月經)에 關한 臨床的 考察. 대한한의학회지. 1996;17(2):405-17.
  7. 成銀美, 李秉烈, 李榮宰. 經閉의 鍼灸治療에 關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8;6(2):545-78.
  8. 김장흡. 뇌하수체 기능이상에 의한 무월경. 대한내분비학회지. 2002;17(6):763-72.
  9. 葉桂. 葉天士女科. 서울:綜合醫院社. 1974:26-34.
  10. 肖淑春 編. 東醫臨床婦人科學. 서울:法人文化社. 1999:151.
  11.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上).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1:123, 248.
  12. 허준.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1999:500, 1585, 1588.
  13. 周命新. 醫門寶鑑. 서울:행림서원. 1971:182.
  14. 김영미, 최원영. 失血로 誘發된 흰쥐의 血虛證에 대한 當歸補血湯의 효과.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88;3:78-83.
  15. 吳昭姐, 朴性植, 李源哲. 芎辛導痰湯 및 當歸補血湯이 腦 및 血漿의 Serotonin과 Catecholamine 含量에 미치는 影響. 한의학 연구소 논문집. 1994;3:91-106.
  16. 조현주, 최은미, 강명자. 임신 및 출산에 성공한 조기난소부전증 환자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200-8.
  17. 張介賓. 景岳全書.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1996:692-3.
  18. 崔相淳 등. 毓麟珠가 白鼠의 排卵과 卵巢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2):177-33.
  19. 成娟受 등. 體外受精과 關聯한 毓麟珠의 效能에 關한 硏究.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1):161-83.
  20. 민응기. 다낭성 난소 증후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8;51(8):8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