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육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 A Look to the Future

  • 김창복 (서울교육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
  • 이경순 (서울오류초등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 Kim, Chang-Bo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and Special Children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Kyung-So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and Special Children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09.08.18
  • 심사 : 2009.11.11
  • 발행 : 2009.12.31

초록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has variously changed and developed during the last thirty years. Among all the progressive changes, the improvement of teaching condition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fundamental one. The number of students assigned to a class or a teacher has decreased to a considerable extent. Cyber teaching-learning has been peformed at school and home, and English education has been emerged as a significant part of the Korean public education. The research issues constantly considered essential over the past three decades starting in the 1980's are those related to curricula, teaching-learning methods, training of teachers in-service, and education for upright characters. The practical and political issues should be dealt with to revise the three integrated subjects and text books into a sole integrated subject and text book, to double the credential of teachers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to de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in Korea to the OECD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교육청(2009). 2009 희망 경기 교육 선진화 기본계획. 경기도교육청.
  2. 교육과학기술부(2008a). 방과후 관련 통계(2008년 10월 말 기준). http://www.mest.go.kr/에서 2009년 8월 14일 인출.
  3. 교육과학기술부(2008b)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총론, 재량활동.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원(2009a). 공교육경쟁력 향상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 http://www.mest.go.kr/에서 2009년 8월 14일 인출.
  5. 교육과학기술부(2009b) 초중등 그린스쿨 사업추진 계획안. http://www.mest.go.kr/에서 2009년 8월 14일 인출.
  6. 교육과학기술부(2009. 2. 16). 보도자료 : 교과부 "뒤쳐지는 학생 없는 학교가 만드는 첫 단추". http://www.mest.go.kr/에서 2009년 8월 14일 인출.
  7. 교육과학기술부(2008. 7. 14). 보도자료 : 초3 기초 학력 미도달 학생 2002년 이후 꾸준히 감소 http://www.mest.go.kr/에서 2009년 8월 14일 인출.
  8.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8). 교육통계연보. http://cesi.kedi.re.kr/index.jsp에서 2009년 8월 14일 인출.
  9. 김경성(2008). 제3발표 : 기초학력책임제와 초등교육의 과제,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 2008(3), 93-102.
  10. 김경희(2000).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민환(2007).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통합방식 연구.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7(1), 63-88.
  12. 김두정(1989).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3, 69-78.
  13. 김정렬(2008). 초등영어교육의 강화와 초등교육의 과제.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 2008(3), 57-81.
  14. 김영지(2003). 주제중심통합단원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홍원(2007). 방과후 학교 성과분석 및 성과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7-26.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6. 당희정(2005). 초등학교 학급담임 배정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민용성(2005). 통합교육과정의 구성방식에 대한 일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 61-80.
  18. 박순경(2008).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관점에서 본 초등교사의 담당학년 배치 고찰. 교육과정연구, 26(1), 81-101.
  19. 박정화(2004). 주제중심통합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하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 서울특별시교육청(2008). 2008학년도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교육청 초등교육과.
  21. 서울특별시교육청(2009). 2009년 서울초등장학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교육과.
  22. 이미화(1989). 컴퓨터의 보조소집단학습에 있어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3, 79-105.
  23. 이인제.김미숙.남미숙.민경인(2007). 서울초등교육의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서울시교육청.서울교육대학교 공동연구). 서울특별시 교육청.
  24. 이상용(2006). 초등학교 학년담임 선호도 분석을 통한 학년배정 방식 개선 방안.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효응(2008). 영어몰입교육의 도전과 응전. 영어몰입교육의 문제점과 대책(3-12). 충북 :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원 연수원.
  26. 이정경(2003). 초등학교 담임배정실태 및 개정방안 연구-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7. 이현남(1988). 효과적 학습을 위한 심리적 학습환경에 관한 고찰. 초등교육연구 2, 33-41.
  28. 조연순(2007). 초등학교 아동의 특성변화와 인성교육의 연구. 힌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 5, 15-38.
  29. 조연순(1987). 국민학교 저학년의 통합교육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과정 분석 연구. 초등교육연구, 1, 61-84.
  30. 정귀남(2003). 주제 중심 통합 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정광순(2008).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통합 교과교육의 방향. 초등교과교육연구, 10, 1-22.
  32. 홍웅선(1987). 새로운 교육과정. 초등교육연구, 1,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