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 Recognized Toddler-teacher Relationships Compared with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 Jung, Mi-Jo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ans Univ.) ;
  • Kim, Hee-J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ans Univ.)
  • 정미조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희진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09.02.27
  • Accepted : 2009.05.07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infant-teacher relationships perceived by teachers related to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Participants were 57 2-year-old toddlers and their 8 teachers.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s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 toddler-teacher and toddler-toddler interactions were observed and recorded during play.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Results were : (1) the perceived relationships of toddlers to multiple teachers in the classroom were very similar. (2) The pattern of interactions between toddlers and teachers was similar to that of interactions between toddlers and peers. (3) The more positive the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 the more positive the observed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eachers and between children and their peers.

Keywords

References

  1. 곽주영(1996). 보육교사 행동의 질적 수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선라(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행동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란(2006). 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난실(2004). 만2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인아(2004). 교사-유아 애착안정성과 교사-유아 관계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지선(2000). 영유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손혜숙(2000). 복합애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성과 반사회성. 유아교육연구, 20(3), 85-97.
  8. 신지연(2004). 2세 영아의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복합애착과 사회 . 정서적 행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여연승(2003).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육아정책개발센터(2005). 보육통계. 2008년 10월 3일 http://www.kicce.re.kr/에서 검색.
  11. 이선영(2006).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사회 . 정서적 행동 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순형. 김정연(1997). 보육 시설 내 성별에 따른 영아와 교사 및 또래간으 사회적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18(1), 23-38.
  13. 이현호(1997). 영아-교사 간 애착안정성에 따른 사회적 놀이 참여 행동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은혜(2005). 영아의 기질에 따른 기관 적응 및 또래와의 비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영희(1987).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연구 : 어머니 및 또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전경아(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미숙(2007).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이 영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남선(2002).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과 영아 상징 놀이에서의 자기-타인 관계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상흔(2007).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서윤(2002). 영아와 어머니의 애착안정성에 따른 사회적 놀이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지현. 박혜원(2000). 보육환경(보육시설 및 교사)이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문집(울산대학교), 2(1), 73-87.
  22. Adler, T. F., & Furman, W. (1988). A model for children's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 dysfunction. In S. Duck(Series Ed.) Handbook of personal relationships : Theory, research and inventions (pp.211-229). New York, NY : John Wiley & Sons.
  23. DeVries, R., & Zen, B. (1997). 유아를 위한 사회도덕성 교육(이은화. 이경우. 곽향림 공역). 서울 : 창지사(원서 1995 출판).
  24. Dunn, J. (1993). Young children's close relationships : Beyond attachment. Newbury Park, CA : Sage.
  25. Field, T. (1979). Differential behavior and cardiac response of three-month-old infant to a mirror and peer.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 179-184. https://doi.org/10.1016/S0163-6383(79)80019-3
  26. Frankel, K. A., & Bates, J. E. (1990). Mother-toddler problem-solving : Antecedents in attachment, home behavior, and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67(3), 810-819.
  27. Fru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 (6), 1016-1024. https://doi.org/10.1037/0012-1649.21.6.1016
  28. Howes, C, & Hamilton, C. E. (1993).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 Changes in teacher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15-32.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6-1
  29. Howes, C, Hamilton, C. E., & Philipsen, L. C. (1998). Stability and continuity of child-caregiver and child-peer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9(2), 418-426.
  30. Howes, C, Matheson, C. C, & Hamilton, C. E. (1994b).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Child Development, 65(1), 264-273. https://doi.org/10.2307/1131380
  31. Kail, R. V. (2008). 아동과 발달(권민균. 김정민. 최형성 공역). 서우 : 시그마 프레스(원서 2007 출판).
  32. Miller, J. (1993). Learning from early relationship experience. In S. Duck (Series Ed.), Understanding relationship process : Vol.2. Learning about relationship(pp. 1-29). Newbury Park, DO : Sage.
  33. Piaget, J. (1932).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Glencoe, IL : Free Press.
  34. Pipp, S., Easterbrooks, M. A., & Harmon, R. J. (1992).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knowledge of self and mother in one-year-old infant to three-year-old infant. Child Development, 63(3), 738-750.
  35. Vandell, D, Hunderson, V., & Wilson, K. (1988).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with day care experience of varying quality. Child Development, 59 (5), 1286-1292. https://doi.org/10.2307/1130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