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to Decreas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revent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노년기 우울감소와 자살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 Kim, Choon-Kyung (Department of Child & Family,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eo, In-Suk (Department of Child & Social Welfare, Kyungwoon University)
  • 김춘경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여인숙 (경운대학교 아동사회복지학부)
  • Published : 2009.1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derly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reventing suicidal ideation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elderly people who are older than 65 years old,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n = 9) and control group(n = 9).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programs of these experimental groups were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90-120 minutes per session over 6-week period. But there were no treatm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pre-test, the post-test and the follow-up test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Korean Dementia Rating Scale,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 and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he suicidal ideation. Meanwhile the control group were increasing the depression an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Keywords

References

  1. 경지영, 유영주(2000). 여성노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경향과 우울정도와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겨울호, 185-219
  2. 고선규, 안상미, 박민규, 최성호, 김연수, 우은경, 외(2003). 한국 노인의 우울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1-132
  3. 고승덕(1995).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추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고승덕, 김은주, 김영규(1999). 노인의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의 불안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보건교육, 16(2). 81-92
  5. 고현남, 이삼순, 한희자(2001). 농어촌지역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0(4). 645-655
  6. 기백석(1996).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의 표준화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5(2). 298-307
  7. 김근조(2000). 일부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도환(2001).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가을호, 113-144
  9. 김문영(2003). 인지-행동적 집단상담과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0. 김문영, 정현희(2004). 인지-행동적 집단상담과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우울과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367-382
  11. 김병하, 남철현(1999) 유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분석연구. 한국노년학회지, 19(2). 173-192
  12. 김수영(2001). 쑥향기 흡입을 병행한 회상집단상담이 노인의 통증, 우울,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숙경(2003).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 개입의 효과. 청소년복지연구, 5(2), 71-84
  14. 김유희(2002).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시설아동을 위한 독서치료의 효과-우울, 수치심, 죄책감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인례(2004). 기독교인의 우울증 치료 방안으로서의 독서치료 연구. 나사렛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김정옥, 박자영(2007). 도예활동이 노인의 우울정서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95- 109
  17. 김진순, 손태용, 금란, 홍금덕(1999). 연구논문 / 일 지역의 보건소 및 경로당 이용노인의 우울성향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19(3). 141-153
  18. 김춘경, 이수연, 최웅용(2005). 우울 및 자살개입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및 자살 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 장애연구, 21(1). 162-188
  19. 김춘미, 고문희, 김문정, 김주현, 김희자, 문진하, 외(2008). 여성 독거노인의 삶. 대한간호학회지, 38(5). 739-747 https://doi.org/10.4040/jkan.2008.38.5.739
  20. 김태현(1981).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 부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199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Ⅱ). 한국노년학회지, 19(1), 61-81
  22. 김현순, 김병석(2007).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9(3), 801-818
  23. 김현정, 송인순, 정용준, 송기철, 박병강, 조영채(2002). 일부 도시지역 노일들의 우울정도 평가.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8(1), 10-20
  24. 김형수(2002).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2(1), 159-172
  25. 김형수(2006). 생애주기별 자살현황과 예방대책. 노인복지연구, 34, 271-292
  26. 박봉길(2008).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8(4), 969-989
  27. 박순천(2005).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박현숙(1993). 집단인지요법이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배재남(1996). DSM-Ⅲ-R 주요 우울증에 대한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 정확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배진희(2009). 노인의 상실, 학대경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4, 49-70
  31. 변용찬(1997).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 종합대책. 보건복지포럼, 제4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49
  32. 보건복지부(1995). 인구구조. 보건복지통계연보, 제 42호. 268
  33. 서석희, 이정윤(2008). 노년기 자아통합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상담학연구, 9(1), 85-102
  34. 서화정(2005). 노인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사업 개입전략 : 노인 자살의 영향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송미순(1991). 노인의 생활기능상태 예측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송양순(2001). 재가노인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산정논총, 2, 1-25
  37. 신은영, 이인수(2002). 고령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사회 속성과 행동양식. 노인복지연구, 봄호, 147-168
  38. 양혜경 (2006). 음악을 활용한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6(4), 749-765
  39. 엄명용(2000). 뇌졸중 노인을 위한 회상그풉운영과 평가. 한국노년학회지, 20(1), 21-35
  40. 여인숙, 김춘경(2006). 노년기 우울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생애회고적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3-128
  41. 여인숙, 김춘경(2007). 노년기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이야기치료 회상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구성방법에 따른 효과비교. 상담학연구, 8(1), 199-228
  42. 오인옥(1998). 인지행동 집단치료가 여대생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7(2), 257-272
  43. 이가옥 (2004). 노인 집단 프로그램 개발. 서울: 나눔의 집
  44. 이금단, 손정락(2000). 이야기심리치료가 중학생의 자살생각 감소에 미치는 영향: Hermans의 자기직면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4), 645-658
  45. 이수연, 최웅용, 김춘경(2005).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감소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12(2), 145-167
  46. 이은철, 송정은, 안석균, 오병훈, 이홍식, 오희철, 외(1999). 노인 낮병원의 심리사회적 치료프로그램이 노인의 신경인지기능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 신경정신의학 23(5), 933-943
  47. 이인정(2007).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6, 159-180
  48. 이평숙, 이영미, 임지영, 황라일, 박은영(2004).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4(3), 477-484
  49. 이호영, 신승철(1989). 일 농촌지역(강화도) 노인 정신장애의 역학적 연구(Ⅲ). 신경 정신의학, 28, 617-631
  50. 장미희, 김윤희(2005).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4(1), 33-42
  51. 전길양, 송현애, 고선주, 김일명(2000).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한국노년학회지, 20(1), 69-91
  52. 정승진(1999).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3. 정여주(2005).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노년학, 25(1), 73-86
  54. 정영(1994). 회고요법이 노인의 죽음 불안, 자아통합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의학부 논문집, 47(2), 1009-1025
  55. 정영미, 김주희(2004). 동거유형에 따른 노인의 인지기능, 영향상태, 우울의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34(3), 495-503
  56. 정인과(1994). 노년기 우울장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자료집, 14-20
  57. 조계화, 김영경(2008).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176-187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2.176
  58. 조맹제(2002). 한국 노인정신질환의 현황. 신경정신의학, 41(5), 758-766
  59. 조맹제, 함봉진, 이부영, 김성윤, 신영민, 이창인(1998a). 일장기 수용시설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와 우울증상의 유병률. 신경정신의학, 37, 913-920
  60. 조맹제, 함봉진, 주진형, 배재남, 권준수(1998b). 일 도시 지역사회 노인들의 인지기능 장애와 우울증상의 유병률. 신경정신의학, 39, 352-362
  61. 조은희, 전진호, 이상원 (2000). 경로분석을 통한 만성질환 노인 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델 설정. 노인병, 4(3), 148-163
  62. 중앙일보(2005.5.18). OECD 각국기관, 통계현황
  63. 최낙균(2002).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수형자의 공격성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4. 최영애(2003). 노인들의 우울, 자존감, 및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1, 가을호, 27-47
  65. 최웅용, 김춘경, 이수연(2005).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살 및 우울 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6(1), 75-91
  66. 최진영(1998).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 서울: 학지사
  67. 탁영란, 김순애, 이봉숙(2003). 여성 노인의 사회적지지 및 도구적 지지요구와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간호학회지, 9(4), 449-456
  68. 통계청(1984 - 2008). 사망원인통계
  69. 하양숙(1990). 집단 회상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0.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강지현(2004). 우울장애와 불안장애청소년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263-279
  71. 허준수, 유수현(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7-35
  72. 홍주연(2000). 성격과 자아통합감이 노인 회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3. 황미구, 김은주(2008). 노인의 우울과 인지능력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살생각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노인복지연구, 41, 385-404
  74. Abler, R. M.(1990). Cognitive/behavioral and relationals/interpersonal group counseling: Effects of an eight week approach on affective status among independent-living elderly adult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1(2), 969B(UMI No. 9012431)
  75. Aren, P. A., Perri, M. G., Nezu, A. M., Schein, R. L., Frima, C., & Joseph, T. X.(1993).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social problem solving therapy and reminiscence therapy as treatments for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1, 1003-1010 https://doi.org/10.1037/0022-006X.61.6.1003
  76. Beck, A. T.(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77. Beck, A. T.(1987). Cognitive therapy and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78. Buckhardt, C. S.(1987). The effect of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0, 277-285 https://doi.org/10.1002/nur.4770100411
  79. Chandler, M. J.(1973). Egocentrism and antisocial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35(8), 978-987 https://doi.org/10.1037/h0034974
  80. Dehope, E. K.(1991). Cognitive therapy: Intervention with the depressed elderly.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2(4), 1475A (UMI No. 9113875)
  81. Ellis, A.(1984). The essence of REBT. Journal of Rational-Emotive Therapy, 2(1), 19-25 https://doi.org/10.1007/BF02283005
  82. Harlow, L. L., Newcomb, M. D., & Bentler, P. M.(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5-21 https://doi.org/10.1002/1097-4679(198601)42:1<5::AID-JCLP2270420102>3.0.CO;2-9
  83. Hollis, J. W.(1997). The Last Five Minutes Technique. in: Rosenthal. H. G.(Ed.). Favorite Counseling and Therapy Techniques. Brunner-Routledge. NY & London. 107-108
  84. James, R. K., & Gilliland, B. E.(2001). Crisis intervention strategies(4th ed.). Singapore: Thomson
  85. Ladish, C.(1994). Group treatment for depressed elderly: A comparison of cognitive-behavioral and supportive approache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4(12), 6464B. (UMI No. 9414786)
  86. Lappe, J. M.(1987). Reminiscing: The life review therapy.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3(4), 12-16
  87. Lewinsohn, P. M.(1984). Theoretical issues in behavior therapy. New York: Academic Press
  88. Mosak, H. H.(1997). Interrupting a Depression: The Pushbutton Technique. in: Carlson, J. & Slavik, S. (Ed.)(1997). Techniques in Adlerian Psychology. Washington: Taylor & Francis Ltd. 267-272
  89. Rubin, R. J.(1978). Bibliotherapy source book. AZ: Oryz Press, London
  90. Santor D. A., & Zuroff D. C.(1994). Depressive symptoms: Effects of negative affectivity and failing to accept the pas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3(2), 294-312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6302_9
  91. Spaccarelli, S., & Kim, S.(1995). Resilience criteria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ce in sexually abused girls. Child Abuse & Neglect, 19, 1171-1182 https://doi.org/10.1016/0145-2134(95)00077-L
  92. Yalom, I. D.(198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3rd ed). New York: A Division of Harper Collins Publishers
  93. White, M.(1995). Re-Authoring Lives: Interviews & Essays. South Australia: Dulwich Adelaide Centr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