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Self-Perception,Peer Competence, and Giftedness

유아의 영재성과 또래유능성 및 자아지각과의 관계

  • Son, Ji-Hyang (Center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Uiduk University) ;
  • Lee, Soon-Bok (Divi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iduk University)
  • 손지향 (위덕대학교 영재교육원) ;
  • 이순복 (위덕대학교 유아교육학부)
  • Published : 2009.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self-perception, peer competence and gifted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1 preschoolers between the ages of 4 and 5 who attended childcare centers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Pohang city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bility variables of self-perception and aggressive and asocial variables of peer competence.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ability variables of self-perception and humor variables of giftedness.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 acceptance variables of selfperception and logical thinking, task commitment and humor variables of giftednes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hyper-distractible variables of peer competence and independence variables of giftednes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집(1996). 아동의 역량지각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영옥, 홍지명, 김세루, 김권일(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05-228
  3. 김윤하(2006).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자아개념 및 사회적 기술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현정(1997). 부모의 교육적 기대와 시험불안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류현수(2008). 유머활동경험이 정서지능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 및 유머이해도와 감지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1), 119-142
  6. 박주희(2001).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 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서혜린, 이 영(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8. 송수지(1999). 영재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송인섭(2000). 정보화 시대의 영재교육. 사회교육과학연구, 4(1), 3-33
  10. 송 정(1999). 자녀의 또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 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신현숙(2003). 영재청소년의 개인적 특성과 완벽주의 성향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안선희(1998). 어머니의 신념, 어렸을 시 또래관계 및 사회화 전략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5(2), 48-63
  13. 오정윤(1980). 아동들의 인기요인으로서의 학업성적과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19(1), 41-49
  14. 우수정(2001). 유치원 아동의 자아지각과 또래유능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윤경희(2003). 영재의 가정환경, 자아개념, 학업성적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2), 331-353
  16. 윤여홍(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 일반, 19(1), 79-101
  17. 윤여홍(2002). 유아 영재의 판별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 한국영재학회 2002년 한국영재학회 춘계학술세미나 및 워크샵: 21세기 창의적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105-133
  18. 이선경, 성정숙(1998).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와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연구, 14, 131-147
  19. 이연섭(1984). 유아교육과정. 서울: 창지사
  20. 이은해, 최혜영, 김미해(1990). 아동의 사회적 능률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유치원용 및 초등학교 1, 2학년용 척도. 생활과학논집, 4, 175-189
  21. 이재연, 진선미(1999). 영재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아동연구, 13, 53-69
  22. 이주현, 김정원(1997). 영재아의 학교적응과 사회성숙도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1(3), 271-294
  23. 장영숙(2007). 부모용 유아 영재성 평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79-102
  24. 장영숙(2008).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135-159
  25. 전경원(2000).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26. 정우현(1981). 사회화 연구의 동향. 교육연구 개요지(한국교육개발원 교육사회화편)
  27. 조석희, 한순미(1986). 취학전 영재의 특성 및 부모의 지도실태와 요구에 관한 조사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8. 조용태(2001). 유아 영재진단 평가체제. 미래유아교육학회 추계 학술 대회 논문집: 유아영재교육의 과제와 방향, 69-107
  29. 조윤정(2002). 영재와 일반학생간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최수연(2003). 영재유아와 일반유아간의 놀이성과 사회성숙도에 관한 차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최혜승(2004). 영재아동의 사회성숙도와 또래지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한석실(2005). 발달에 적합한 유아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5-56
  33. 한종혜(1997). 교사 및 또래집단과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3(1), 151-180
  34. Alvino, G.(1985). Parent's guide to raising a gifted child: Recornizing and developing your child's potential.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35. Berk, L. B.(1999). Infant and children. Boston: Allyn and Bacon
  36. Berlyne, D. E.(1969). Laughter, humor, and play. In G. Lindzey & E. Aronson(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3, 795-852. Reading, MA: Addison-Wesley
  37. Boivin, M., & Begin. G.(1989). Peer status and self-perception among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case of the reject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60, 591-596 https://doi.org/10.2307/1130725
  38. Boulton, M. J., & Smith, P. K.(1994). Bully/victim problems in middle-school children: Stability, self-perceived competence, peer perceptions, and peer acceptanc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2, 315-129 https://doi.org/10.1111/j.2044-835X.1994.tb00637.x
  39. Bowlby, J.(1973). Attachment and loss: Vol.2.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Basic Books
  40.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41. Dimiani, V. B.(1997). Young gifted children in research and practice: The need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Gifted Child Today, 20(3), 18-23
  42. Feldhusen, J. F.(1992). Talent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Gifted Child Quarterly, 36, 123 https://doi.org/10.1177/001698629203600301
  43. Gross, M. U.(1993).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London: Routledge
  44. Hampson, R.(1979). Peers, pathology and helping: Some kids are more helpful than others.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an Francisco, USA
  45. Harter, S.(1983).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system. In M. Hetheringto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275-385. New York: Wiley
  46. Harter, S.(1990). Issues in assessment of self-concep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La Greca (Ed.) Childhood assessment: Through the eyes of a child, 292-325. Boston: Allyn & Bacon
  47. Harter, S., & Pike, R.(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6), 1969-1982 https://doi.org/10.2307/1129772
  48. Hodge, A. H., & Kemp, C. R.(2000). Exploring the nature of giftedness on preschool children.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4(1), 46-73 https://doi.org/10.1177/016235320002400103
  49. Hollingworth, L. S.(1942).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New York: Word Book
  50. Ladd, G. W., & Profilet, S. M.(1996). The child behavior scale: A teacher-report measure of young children's aggressive, withdrawn, and prosocial behaviors. Developmental Psychology, 32(6), 1008-1024 https://doi.org/10.1037/0012-1649.32.6.1008
  51. Marland, S. P. Jr.(1972). Education of gifted and talented(Report to the subcommittee on Education, Committee on Labor and Public Welfare, U.S.Senate).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52. McGhee, P. E.(1971). The role of operational thinking in children's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of humor. Child Development, 42, 123-138 https://doi.org/10.2307/1127069
  53. Parke, B. N.(1989). Gifted students: Who they are and what they need. New York: Allyn and Bacon
  54. Phillips, D. A.(1987). Socialization of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mong highly competent children. Child Development, 58, 1308-1320 https://doi.org/10.2307/1130623
  55. Piaget, T.(1955). The language and thought of the child. NY: Meridian Books
  56. Renzulli, J. S., & Smith, L.(1971). Two approaches to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38, 211-214 https://doi.org/10.1177/001440297103800303
  57. Reykowski, J., & Jarymowicz, M.(1976). Education of prosocial orientation.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Warsaw, Warszawa, Poland
  58. Smutny, J. F.(1998). The young gifted child: Potential and promise, and anthology. NY: Hampton Press
  59. Terman, L. M.(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thousand gifted children,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1,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60. Winner, E.(1996). Gifted Children: Myths and realities. New York: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