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l Housing in the Home Exposi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일제강점기 가정박람회에 나타난 이상주거

  • Yang, Se-Hwa (Departmen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University of Ulsan) ;
  • Ryu, Hyun-Joo (Departmen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University of Ulsan) ;
  • Eun, Nan-Soon (Korea Center for Housing Research)
  • 양세화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 전공) ;
  • 류현주 (울산대학교 주거환경학 전공) ;
  • 은난순 (한국주거문화연구소)
  • Published : 2009.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housing for the modern family suggested by the Home Exposition (September, 1915)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macroscopic context of social change and the microscopic context of family. Through this research, we expect to have a partial understanding not only of changes in the outward appearance of traditional housing spaces during the civilization period and the early Japanese colonial rule when foreign cultures began to be introduced but also of families'residential lives and the patterns of change in people's consciousness of housing. Major conclusions from the curre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changes in family paradigm induced through a home exhibi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n ideal housing was that it must be the source of harmonic and healthy family life. Third, the importance of an appropriate space norm should be emphasized by providing the minimum size of each room. Fourth, the significance of the housing values of the economy, convenience, and hygiene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ideal housing. Lastly, it was implied that for an ideal housing,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housing must be satisfied along with the physical aspects. The limitation was that the model of ideal family housing presented in the Home Exposition cannot exclu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nial perspectives in that it was followed by the model for the Japanese famil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훈(2004), 일제강점기 박람회 건축과 근대의 표상.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48-66
  2. 김동욱(1997). 한국건축의 역사. 서울: 기문당
  3. 김진균, 김우영, 이경훈, 이용석(2002). 일상과 비일상적 주생활에 따른 전통주거건축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2), 111-118
  4. 매일신보. 1915년 8월 19일 - 10월 31일자
  5. 민경철(2001). 조선시대반가의 공간사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박선희(1992). 조선시대 반가의 식사 취사생활과 공간사용. 건축역사연구, 1(2), 39-51
  7. 박진희(2005). 일제하 주택개량 담론에서 보여지는 근대성. 담론201, 7(2), 82-108
  8. 백승종 외 편역(2001). 미시사와 거시사. 서울: 궁리출판
  9. 백지혜(2005). 스위트 홈의 기원. 서울: (주)살림출판사
  10. 서귀숙(2004). 일제강점기 '조선과 건축' 권두그림에 게재된 조선인 개인주택에 대한 고찰.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5(4), 75-86
  11. 신현규(2005). 꽃을 잡고. 서울: 경덕
  12. 양세화, 전남일, 홍형옥, 손세관(2006). 개화기 이후 이상주거 담론에 나타난 주의식. 대한가정학회지, 44(5), 35-48
  13. 요시미 순야(2004). 박람회 근대의 시선. 서울: 논형
  14. 윤도근, 김란기(1987). 일제의 주거정책과 그 유산에 관한 연구. 홍대논총, 19(2), 99-123
  15. 은난순(2005). 근대화 시기 주거공간을 통해 본 아동관과 아동공간의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63-77
  16. 이병구(1989). 도시주거 주생활공간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상은(2002). 주생활과 공간구조와의 관계에 따른 조선시대 상류주택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희봉, 김태식(1997). 강릉 선교장 가족성원의 역할을 통해 본 전통 주거공간의 재조명. 환경과학연구, 8, 293-311
  19. 임창복(1989), 일제시대 주택건축의 경향고찰. 建築, 33(2), 53-56
  20. 전미경(2002). 개화기 계몽담론에 나타난 '가족'에 대한 단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87-99
  21. 정희경(2000). 조선시대의 주거공간에 미친 유교의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최석영(2001). 한국 근대의 박람회 박물관. 서울:서경문화사
  23. 홍선영(2004). 한.일 근대문화 속의 <가정>. 한국일본문화학회지, 22, 1-16
  24. 홍형옥(1992). 한국 住居史. 서울: 민음사
  25. 홍형옥, 전남일, 양세화, 은난순(2006). 근대 이후 노인의 생활과 생활공간 변화에 대한 일상사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44(8), 47-61
  26. Schlumbohn, J.(2001). 'Mikrogeschichte-Makrogeschichte: Zur Eroffnung einer Debatte.' Mikrogeschichte-makrogeschichte. Komplentar oder inkommensurabel? Gottingen: Wallstein Verlag, pp. 9-32. 미시사와 거시사. 백승종, 장석훈, 장현숙(공역). 서울: 궁리. (1998년 원저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