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Fish Community on Up and Downstream of Hwabuk Dam Under Construction in the Upper Wie Stream.

위천 상류에 건설 중인 화북댐 상 하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 Seo, Jin-W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IW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Kim, Hee-Sung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IW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서진원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 김희성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Hwabuk Dam has been under construction to reduce flood damage in Nakdong River watershed and to supply stable water for middle area of Gyeongbuk Province. Therefore, fish investigation in up and downstream of the dam was conducted from 2004 to 2008 in order to determine any negative effect on fish community due to dam construction and to use as fundamental data for conserving species diversity and maintaining stream health. According to data analysis on water quality,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pH, suspended solids, and total E-coli had seasonal variation, but the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sites. However, biological and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a, nitrogen, and phosphorus representing organic matter and nutrient concentration were higher in upper site and decreased to lower site so that they differed by site. Concentration of arsenic among the heavy metals was less than 0.05 mg $L^{-1}$, which is regulated for protection of human health in water quality standard, except for 0.092 mg $L^{-1}$ in June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6 sites was 10,263 representing 7 families 19 species. Among them,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Korean chub (Zacco koreanus, 62.5%) and Chinese minnow (Rhynchocypris oxycephalus, 10.6%) which inhabit mostly in mid and upper streams, Korea. Among the 19 species, Korean endemic species were 9 species (47.4%) including Korean slender gudgeon (Squalidus gracilis majimae),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Korean shi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There was several individuals of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Naktong nose loach (Koreocobitis nahtongensis), caught in 2005${\sim}$2007, and no introduced species of fish was found in entire sampling period. According to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dominance index decreased toward lower site, but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increased toward lower site. The equation of length-weight relationship on the dominant species was TW=0.000003$(TL)^{3.2603}$. The parameter b in the equation was greater than 3.0 indicating good nutritional condition in the populations. Compared to populations of Korean chub in other streams, the population in Hwabuk Dam watershed had higher mean of condition factor by size indicating better growth rate. With fish fauna and multi-metric health assessment model in each sampling attempt, index of biotic integrity (IBI) was evaluated and it resulted mostly in good (26${\sim}$35) and excellent (36${\sim}$40) condition in all sites, and the mean of IBI was the highest in site 5.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not onl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th fish composition but also stream health assessment in order to conserve healthy aquatic ecosystem.

본 조사는 낙동강 유역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고, 경북 중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경북 군위군 고로면에 건설 중인 화북댐의 상 하류 어류조사를 통하여 댐 건설이 하천유역에 특히 수 생태계내의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유무를 파악하여 종 다양성을 보전하고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사후환경영향조사 기간(2004${\sim}$2008년) 중 측정된 수질항목 분석결과 현장에서 측정한 수온,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와 실내분석 항목인 부유물, 총대장균수의 경우 지점별로 다소 계절에 따른 변화를 나타냈지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유기물 및 영영염류 농도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화학적 산소요구량, 엽록소, 질소, 인의 경우 지점별로 매우 큰 폭의 변화를 보였으며 상류에서 다소 높고 하류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중금속 중 비소의 경우 2005년 6월 0.092 mg $L^{-1}$를 제외하고는 0.05 mg $L^{-1}$ 이하를 나타내어 하천수 수질환경기준 상 사람의 건강 보호 측면에서 규정한 0.05 mg $L^{-1}$ 이하의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어류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7과 19종 10,263개체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어류 중 우점종은 하천 중 상류에 주로 서식하는 참갈겨니(62.5%)로 확인되었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10.6%)로 나타났다. 조사 구간인 위천 상류에서 확인된 19종 중 한국고유종은 긴몰개, 동사리, 쉬리 등 총 9종(47.4%)으로 나타났으며, 멸종위기야생동 식물 I급으로 지정된 얼룩새코미꾸리(Koreocobitis naktongensis)가 소수의 개체이지만 포획되었고, 외래도입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감소한 반면에 다양도, 풍부도 지수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우점종인 참갈겨니의 개체군 분석 결과, 길이-무게 상관관계식은 TW=0.000003$(TL)^{3.2603}$로서 매개변수 b값이 3.0보다 크게 나타나 개체군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시기에 다른 하천에서의 개체군들과 비교분석 결과 size별 평균 비대지수(CF)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 화북댐 유역의 참갈겨니가 다른 지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화북댐 상 하류에서 어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건강성평가(IBI)를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양호(26${\sim}$35)에서 최적(36${\sim}$40)을 보였으며 지점 5에서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어류에 관한 환경영향평가와 하천건강성평가 등을 통한 화북댐 완공 후 상 하류 하천의 어류상 변화유무 및 환경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2. 화북댐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한국수자원공사
  2. 건설교통부. 2007. 2007 화북다목적댐 건설사업 사후환경영향조사. 한국수자원공사
  3. 건설교통부. 2008. 2008 화북다목적댐 건설사업 사후환경영향조사. 한국수자원공사
  4. 김익수. 1995. 한국의 위기 담수어류의 서식현황과 보존. 한국생태학회. 어류학회 공동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p. 31-50
  5.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629p
  6.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
  7. 김희성. 2008. 어류의 서식처 회복에 보 철거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p
  8. 농림부. 2000. 농업용수 수질개선 시험사업 보고서(IV). 농업기반공사
  9. 농림부. 2001.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통계연보. 농업기반공사
  10. 서진원. 2005. 어류상 및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징. 한국육수학회지 38(2): 196-206
  11. 안홍규, 우호섭, 이동섭, 김규호. 2008.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곡릉천 곡릉2보 철거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2): 40-54
  12.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1p
  13.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 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277p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5.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및 수질개선 효과 1차년도 보고서. 81p
  15. 환경부. 2006.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 (III) 최종보고서: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체계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16. 환경부. 2007. 수생태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델과 기준. 조사계획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 (III) : 수생태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 및 지침. 국립환경과학원
  17. Anderson, R.O. and R.M. Neumann. 1996.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p. 447-482 In: Fisheries Techniques, 2nd edition (Murphy, B.R. and D.W. Willis, eds.).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sda, Maryland, USA
  18. Ganasan, V. and R.M. Hughes. 1998. Application of an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to fish assemblages of the rivers Klan and Kshipra (Madhya Pradesh), India, Freshwater Biology 40: 367-383 https://doi.org/10.1046/j.1365-2427.1998.00347.x
  19.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20.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 and I. J. Schlosser. 1986. Assessment of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s: A method and its rationale. Illinois Natural History Survey Special Publication 5, Champaign. Illinois, USA
  21. LeCren, E.D. 1951.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seasonal cycle in gonad weight and condition in the perch Perca fluviatilis. Journal of Animal Ecology 20: 201-219 https://doi.org/10.2307/1540
  22.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23.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168-169
  24. Naiman, R.J., J.M. Melillo and J.E. Hobbie. 1986. Ecosystem alternation of boreal forest streams by beaver (Castor canadensis). Ecology 67: 1254-1269 https://doi.org/10.2307/1938681
  25.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USA
  26. Ohi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ume II. Users Manual for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Division of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Assessment, Surface Water Section. Columbus, Ohio, USA
  27.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28. Poff, N.L., J.D. Allan, M.B. Bain, J.R. Karr, L.L. Prestegaard, B.D. Richter, R.E. Sparks and J.C. Stromberg. 1997. The natural flow regime. Bioscience 47: 769-784 https://doi.org/10.2307/1313099
  29. Schmitt, C.J. and G.M. Dethloff. 2000. Biomonitoring of environmental status and trends (BEST) program; selected methods for monitoring chemical contaminants and their effects in aquatic ecosystems. U.S Geological Survey, Biological Resources Divis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Report, USGS/BRD/ITR-2000-0005
  30.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31.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