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Emotion-focused Coping and Perceived Efficacy as Mediators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고통의 관계: 정서중심 대처와 지각된 효능감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09.08.08
  • Accepted : 2009.09.27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l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focused coping and perceived 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convenience sample of 241 university students (129 men and 112 women) was employed. Analyses of the structural model for the full sample yielded evidence of good fit. The results support the indirect pathways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to psychological distress through emotion-focused coping and perceived efficacy. About 40% of variance in psychological distress was accounted for by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emotion-focused coping and perceived efficacy. In addition, the fully mediated model produced good fit to the data across gender.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tructural paths as a function of gender.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관련 이론과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정서중심 대처와 지각된 효능감을 매개로 심리적 고통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그 적합도와 개별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3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증한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에서 심리적 고통으로 가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완전매개모형이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모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완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형태동일성 가정이 성립되었고, 측정동일성과 구조동일성 가정 또한 성립되어 경로계수가 남녀집단에 따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녀집단 모두에서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정서중심 대처와 지각된 효능감을 매개로 심리적 고통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염려 완벽주의, 정서중심 대처, 지각된 효능감은 심리적 고통 변량의 약 40%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BK 21 학교교육 효과 평가전문가 양성 사업팀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