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다중 가상 그리드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

Data-Dissemination Mechanism used on Multiple Virtual Grid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진민숙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이의신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박수창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상하 (충남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발행 : 2009.08.31

초록

무선 센서망은 전력공급이 제한적인 센서 노드들로 구성됨으로, 에너지 비용의 최소화는 망의 수명 연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다수의 사건(event)과 싱크(sink)가 이동하는 환경에서 에너지 비용이 증가한다. 이는 센서 노드들과 싱크들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라우팅 정보가 빈번히 갱신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싱크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라우팅 방안은 이동 싱크에게 끊임없이 데이터를 전달해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망 내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비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싱크와 소스의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는 환경에서의 에너지 평준화에 초점을 둔다. 본 논문은 다중 가상 그리드 기법을 이용하여 이동성을 고려한 에너지비용 및 데이터 전송률에 있어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제안한 프로토콜이 데이터 전송률, 시간지연, 그리고 에너지 비용에 있어서 기존 연구 된 프로토콜들에 비해 성능의 우수함을 입증한다.

Sensor networks are composed of a great number of sensor nodes. Since all sensor nodes are energy-restricted and hard to recharge, it is very important.However, the energy consumption may significantly increase if mobile sources or sinks exist in sensor networks. The reason is that the routing information for mobile sources and sinks needs to be update frequently for efficientdata delivery. The routing algorithm supporting mobile sinks should consider not only continuous data delivery but also the energy consumption of sensor nodes.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focuses on even energy consumption while the mobility of sinks and sources is rarely consid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routing protocol with multiple virtual grid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improve packets delivery efficiency. Then this paper considers the mobilit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can guarantee high data delivery ratio and lower average delivery delay, while consuming lower energy than existing routing protocols in sensor networks.

키워드

참고문헌

  1. Douglas S. J. De Couto and Robert Morris, 'Location Proxies and Intermediate Node Forwarding for Practical Geographic Forwarding,' MIT Laboratory for Computer Science technical report MIT-LCS-TR-824, June 2001
  2. Fan Ye, Haiyun Luo, et al., 'A Two-Tier Data Dissemination Model for Large-scale Wireless Sensor Networks, ACM/IEEE MobiCOM 2002, Sept. 2002 https://doi.org/10.1145/570645.570664
  3. Zehua Zhou, Xiaojing Xiang, and Xin Wang, 'An Energy-Efficient Data-Dissemination Protocol in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WoWMoM 2006. Jun. 2006 https://doi.org/10.1109/WOWMOM.2006.24
  4. 권기석, 이승학, 윤현수,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정보과학회논문지, 제33권, 제1호, pp.76-90, 2006년 2월
  5. Scalable Network Technologies, Qualnet, available: http://www.scalable-networks.com
  6. J. Polastre, R. Szewczyk, and D. Culler, 'Telos: Enabling Ultra-Low Power Wireless Research,' IEEE IPSN 2005, 15 April 2005, pp. 364-369 https://doi.org/10.1109/IPSN.2005.1440950
  7. C. Intanagonwiwat, R. Govindan, and D. Estrin, 'Directed Diffusion: A Scalable and Robust Communication Paradigm for Sensor Networks,' MOBICOM 2000
  8. C. Lin and M. Gerla, 'Adaptive Clustering for Mobile Wireless Network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1997 https://doi.org/10.1109/49.622910
  9. A. B. McDonald, 'A Mobility-Based Framework for Adaptive Clustering in Wireless Ad-Hoc Network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1999 https://doi.org/10.1109/49.78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