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투스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군집합로봇의 행동학습

Attitude Learning of Swarm Robot System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 진현수 (백석대학교 정보통신학부)
  • 투고 : 2009.05.17
  • 발행 : 2009.06.30

초록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로봇은 더욱 소형화 되어가지고 응용을 요구하는 로봇의 수효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지역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많은수의 자동로봇을 처리하는 방법이 로봇군집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실험 주제로 자리잡고 있다. 군집로봇시스템은 선배정된 조건으로부터 자기의 상태를 유추할수 있는 제한된 환경가운데 있는 독립적인 자동로봇으로부터 자기자신을 유도할 수 있고 서로간의 역할을 분담하는 로봇이다. 군집로봇에 있어서 로봇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센서부분을 포함하고 정보를 교환하기위해 통신 부분을 포함하고 작업을 하기위해 액튜에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다른 로봇과의 협동작업을 하기 위해 로봇과의 통신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블루투스는 저전력 소모라든지 모둘패키지 크기가 작든지, 여러 가지 기준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든지하여 작은 크기의 로봇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잇점을 가지고 있다. 본문에서 자동로봇을 위하여 블루투수 통신을 개발한다. 그리고 지능공간안에서 군집합로봇의 통신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기위한 방법을 논의한다.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robots are becomes smaller, and many of robots needed for application are greater and greater. Method of coordinating large number of autonomous robots through local interactions has becoming an important research issue in robot community. Swarm Robot System is a system that independent autonomous robots in the restricted environment infer their status from preassigned conditions and operate their jobs through the coorperation with each other. Within the SRS,a robot contains sensor part to percept the situation around them, communication part to exchange information, and actuator part to do a work. Specially, in order to cooperate with other robots, communicating with other robot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In such as Bluetooth has many adventage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small size module package, and various standard procotols, it is rated as one of the efficent communcating system for autonomous robot is developed in this paper. and How to construct and what kind of procedure to develop the communicatry system for group behavior of the SRS under intelligent space is discussed in this paper.

키워드

참고문헌

  1. M, J.Matric, ''Behavior_based control:Examples from navagation, learning, and group behavior," Journal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rtificial intelligence, vol.9, no.2, pp.323-336, 1997 https://doi.org/10.1080/095281397147149
  2. 진현수, "퍼지제어를 이용한 군집로봇의 행동학습과 평형 알고리즘에 관한 고찰", 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춘계컨퍼런스, vol3.no2,pp.428-430,1998
  3. Satty,R,W., "The Analytic Hierachy Process-what it is and how it is used,"Mathematical Modeling, pp.161-176,1987.9.
  4. H.J.Zimmermann and P.Zysno, "Decision and Evaluation by Hierarchical Aggregation of Information", Fuzzy Sets and Systems Vol.10,pp31-36,1983 https://doi.org/10.1016/S0165-0114(83)80101-8
  5. 진현수, "퍼지 지능기법을 이용한 교차로시스템의 제어에 관한 연구", 퍼지 및 지능시스템 학회 춘계학술대회, vol4,no 3,pp321-316,1998
  6. Toshio Fukada, "Multi-Sensor tegration System with Fuzzy Inference and Neural Network", IEEE Fuzzy Int.conf. vol13,no22,pp234-239,1992
  7. Gilles Mauris, "The aggregation of information by examples via fuzzy sensors", IEEE third Int. Conf. system,Orlando,USA,pp.67-72,june
  8. E.Benoit, L.Foulloy et.al, "Fuzzy sensor for the perception of Colour", Submitted to the Third IEEE Int.Conf. on Fuzzy, USA, pp. 28-45, june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