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충청지역 산업분석

Industry Analysis of Chungchong area Using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연구는 충청지역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산업선정과 투자우선순위 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RAS기법을 이용하여 2005년 전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2006년 전국산업연관표를 작성한 후에, 입지계수법을 이용하여 2006년 충청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충청지역의 각종 파급효과들을 분석하였다.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분석결과는 제조업부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유발효과의 경우 음식점 및 숙박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응도계수는 광업, 영향력계수는 제조업부문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investment priorities and select industry for regional economic reinvigorating by analysing regional inter-industry of Chungchong area(including Chungnam and Chungbuk region) After the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of Chungchong area has been made using a location quotient(LQ) method based on national inter-industry table of 2006 derived from national inter-industry table of 2003 using RAS method, various kind of impacts to Chungchong area are analysed. Manufacturing has the highest result in the result of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added-inducing effect and hotels and restaurants has the highest result in employ-inducing effect. Sensitivity coefficient is highly analysed in mining and quarrying and influential coefficient is highly analysed in manufactu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구, "충북 산업연관분석 연구" 한국동서경제연구, 제16집 제2호 pp.167-192. 2005
  2. 김현철.이돈재.고성보, "제주지역 산업연관모형 개발 (2000년기준)", 정책연구제주발전연구원, p.19. 2005.
  3. 민용식.임용순.곽소윤,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아시아연구, 제10권 제2호, pp.109-131. 2008.
  4. 신동호.강영주, "충청권 지역경제 정책의 통합적 운영에 관한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5. 윤갑식, "충청권지역의 산업간 지역간 연관구조 분석 : 충청권 MRIO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20권 제 2호, pp. 107-126. 2008.
  6. 윤영선.김영수, "세 지역 MRIO 모형을 이용한 지역 경제 연관 분석" 경제학연구 제48집 제2호 pp.175-207. 2000.
  7. 양현석.정군오, "지역산업연관모형과 재정자립도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재정정책학회, 재정정책논집, 제10집, 제1호, pp.31-60. 2008.
  8. 이춘근, "경북지역 산업연관모형에 의한 산업구조분석 - 입지계수법과 RAS 방법의 비교분석-", 경제학연구, 한국경제학회, 제46집, 제3 호, pp. 297-321. 1998.
  9. 황신모.김종구, " 2003 충청북도 산업연관분석 연구" 한국동서경제연구, 제19집, 제2호, pp. 1-37. 2008
  10. 이춘근, "지역산업연관분석론" 학문사, 7월 2006.
  11.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08.
  12. Ghosh,A,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1), pp. 58-64. 1958. https://doi.org/10.2307/2550694
  13. Hawkins. D. and H. A. Simon, "Note: Some Conditions of Macroeconomic Stability", Econometrica, 17(2), pp. 245-248. 1949. https://doi.org/10.2307/1905526
  14. Wu, R. H. and C. Y. Chen,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1), pp. 71-76. 1990. https://doi.org/10.1016/0140-9883(90)90010-D

피인용 문헌

  1.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leading industry R&D for an economic region with regional input-output tables vol.13, pp.6,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6.2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