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ng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Focused on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농촌경관 평가 : 전북 고창선동권역을 대상으로

  • Ban, Yong-Un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Min-Ah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ung, Jae-Ho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Baek, Jong-In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민아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 정재호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 백종인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has intended to evaluate the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in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this study defmed the rural landscape using survey and developed the estimating equation for rural landscape assessment index. Second, this study set up assessment units and assessment indicators, then estimated mean of representative landscape adjectives in accordance with them through residents-participatory evaluation. Third, this study calculated rural landscape assessment index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and evaluated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and landscape fields through mapping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satisfaction level for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village (urban area and residential area) was very high; 2) satisfaction level was very high in both Ye-Jeon reservoir and Hakwon farm, representative landscape resources of the study area.

Keywords

References

  1. K. Hendriks, D.J, Stobbelaar, J.D. van Mansvelt, 2000, The appearanceof agriculture An assεssment of the quality of landscape of both organic and conventional horticultural farms in West Friesland,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t, 77, 157-175 https://doi.org/10.1016/S0167-8809(99)00100-0
  2. M. Arriaza, J.F. Canas-Ortega, J.A. Canas-Madueno, P. Ruiz-Aviles, 2004, Assessing the visual quality of rural landscap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9: 115-125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29
  3. 강원대학교.국립산림과학원, 2006,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을 위한 지표 선정 및 지수화 연구, 농림부
  4. 고길곤.하혜영, 2008, 정책학 연구에서 AHP 분석 기법의 적용과 활용, 한국정책학회보, 17(1), 288-289
  5. 경희대학교, 2002, 지역자원활용을 고려한 농촌경관 평가모텔 작성 및 계획기법 개발, 농림부
  6. 검민아.백종인.반영운, 2008, 텔파이 전문가 설문을 통한 경관영역 및 공간유형별 대표경관형용사선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대전.충청지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97-206
  7. 나정화, 2005, 경관 생태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을 통한 도입 가능성과 한계성, 한국조경학회지,33(4), 45-70
  8. 농어촌연구원, 2005a, 어메니티 증진을 위한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방안연구, 농림부, 43-55, 58
  9. 농어촌연구원, 2005b, 농촌계획 수립을 위한 경관가치의 평가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기반공사
  10. 농어촌연구원, 2006, 농촌경관의 보전.형성.관리를 위한 종합대책 수립방안 연구, 농림부, 6
  11. 농촌진흥청,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도 관리 및 활용 기술연구
  12. 박필제, 2006, 감성 이미지 기반 도시경관 조명연출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반영운.백종인.김민아.윤진옥, 2008, 전문가 탤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 지표 개발, 농촌계획, 14(3), 53-61
  14. 배승종, 2005, GIS 및 RS 기법을 이용한 면수준 농촌어메니티 가치 평가 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학위논문
  15. 서주환, 최현상, 이준근, 2002, 농촌경관 도입요소의 조작을 통한 경관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4), 1-7
  16. 심원섭, 류광훈, 2001, AHP에 의한 관광정책사업의 평가지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13, 139
  17. 안동만,손주동,김명수, 2005, 농촌경관의 농촌다움과 선호도 평가 연구 -내국인과 외국인 평가 비교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1(3), 43-52
  18. 오규식, 1994, 경관영향평가 기법개발의 과제, 한국조경학회지 22(1), 1228-1232
  19. 윤진옥, 2006, 친경관적 농촌개발사업 추진방안, 농촌경관의보전.형성.관리세미나, 57
  20. 이동근, 옥주희, 홍찬선, 윤소원, 박창석, 유헌석, 2005, 농촌경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경관자원 분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을, 농촌계획, 11(2), 21-34
  21. 임형백, 이성우, 2004, 농촌사회의 경관 기능 유지에 대한 가치 평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3), 25-48
  22. 정영근, 이준, 2003,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지수화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3. 조연희, 임승빈, 2004, 생태마을의 경관지각에 관한 연구 -시각적 요소를 이용한 일반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0(2), 17-24
  24. 주신하, 임승빈, 2008,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 연구, 농촌계획, 14(4), 70
  25. 최용복, 정문섭, 2006, GIS를 활용한 농촌경관 분석 사례연구, 한국GIS학회지, 14(3), 349-361
  26. 한국농촌공사, 2006, 고창 선동권역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경관기본계획
  27. 한승호, 조동범, 2004, 농촌마을 경관계획을 위한 경관자료의 수집과 가시화기법, 농촌계획, 10(2), 35-45
  2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환경영향평가의 객관성확보를 위한 절차개선 연구, 5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