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로 망에서 지수평활법을 이용한 핸드오버 지연 단축 기법

Low-Latency Handover Scheme Using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in WiBro Networks

  • 발행 : 2009.06.30

초록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와 이동 통신의 발달, 그리고 Mobile Device 보급의 증가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와이브로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시스템은 이동 중에도 무선 랜 (Wireless LAN) 보다 넓은 서비스 지원 영역에서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MBWA(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기술이며, IP 기반의 백본 망(Backbone Network)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무선 이동 통신 환경에서는 와이브로 시스템의 Layer 2(MAC Layer, Medium Access Control Layer)에서의 이동성 지원 기술뿐만 아니라 Layer 3(Network Layer)에서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이 필요하며,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핸드오버(Handovcr)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Pv4 기반의 와이브로 망에서의 핸드오버 지연 단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이동 단말(MS, Mobile Station)이 수신하는 신호 강도의 예측 값을 바탕으로 크로스 레이어 (Cross-Layer)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기법 (Fast Handover Scheme)을 적용하며, 지수평활법 (Exponential Smoothing Method)을 사용하여 예측 값을 계산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과 제안된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핸드오버 지연 시간의 단축을 증명한다.

Development of high-speed Internet services and the increased supply of mobile devices have become the key factor for the acceleration of ubiquitous technology. WiBro system, formed with lP backbone network, is a MBWA technology which provides high-speed multimedia service in a possibly broader coverage than Wireless LAN can offer. Wireless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needs not only mobility support in Layer 2 but also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in Layer 3 and has to minimize handover latency to provide seamless mobile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cross-layer handover scheme based on signal strength prediction in WiBro environment. The signal strength is measured at regular intervals and future value of the strength is predicted by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With the help of the prediction, layer-3 handover activities are able to occur prior to layer-2 handover, and therefore, total handover latency is reduced.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cheme predicts that future signal level accurately and reduces the total handover latency.

키워드

참고문헌

  1. IEEE Std. 802.16-2004,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Oct. 2004.
  2. IEEE Std. 802.16e-2005,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and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Dec. 2005.
  3. 배성수, 최동훈, 최규태, 와이브로 기술과 시스템, 도서출판 세화, 2006. 8.
  4. TTA Std. TTAS.KO-06.0082/R1, 2.3GHz 휴대인터넷 표준, 물리 계층 및 매체접근제어 계층
  5. C. Perkins, IETF RFC 3344, "IP Mobility Support for IPv4," Aug. 2002.
  6. WiMAX Forum, "Mobile WiMAX - Part 1: A Technical Overview and Performance Evaluation." Aug. 2006.
  7. E. Fogelstroem, A. Jonsson, and C. Perkins, IETF RFC 4857, "Mobile IPv4 Regional Registration." June 2007.
  8. H. Soliman, C. Castelluccia, K. El Malki, and L. Bellier, IETF RFC 4140, "Hierarchical Mobile IPv6 Mobility Management (HMIPv6)," Aug. 2005.
  9. K. El Malki, IETF RFC 4881, "Low-Latency Handoffs in Mobile IPv4," June 2007.
  10. R. Koodli, IETF RFC 4068,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 July 2005.
  11. E. K. Paik and Y. H. Choi, "Prediction-Based Fast Handoff for Mobile WLANs," ICT, pp. 748-753, Mar. 2003.
  12. 이성덕, 이우리, SAS를 이용한 시 계열 자료 분석, 도서출판 탐진, 200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