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훈련 기능성 게임 콘텐츠를 이용한 Personal Training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Training System Using Functional Game for Rehabilitation Training

  • 류완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강한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휴정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임창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게임공학과) ;
  • 정성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Ryu, Wan-Seok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 Kang, Han-Soo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 Kim, Hyu-Jeong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 Lim, Chang-Joo (Dept. of Game and Multimedia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 Chung, Sung-Taek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발행 : 2009.06.19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재미있는 게임을 하면서 재활 및 신체 평형 능력 향상에 이용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를 장착한 밸런스 보드와 기능성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재미있는 게임을 이용한 재활 훈련은 환자의 재활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퍼스널 트레이닝 시스템은 밸런스보드에 가속도 센서를 부착하였으며, 게임 컨텐츠는 신체의 평형 정도에 따라 동작한다. 개발된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하여 재활 훈련 게임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제안된 컨텐츠는 간단한 재활훈련과 신체 평형 운동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여기서 제안된 인터페이스는 에뮬레이터를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의 상용 게임에 적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the balance board with electronic devices to use in various fields of remedial and physical balance exercise with interesting game and the functional game.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a funny game will be effective for patient's rehabilitation training. A Personal training system uses a balance boar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ame controlled by physical balance.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the developed system, we developed rehabilitation training game. The proposed game can be applicable to rehabilitation and balance training, and suggested game interface method could use a commercial game with various function through our emulator.

키워드

참고문헌

  1. 전세일, “척추 골절 환자의 재활치료”, Vol. 1, No. 1, pp.123-126, 1994.
  2. 나영무, 문재호, 성연재, 이홍재, 이한수, 어온실, “기능적 족관절 불안정성 환자에서 발목 원판 훈련의 효과”,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17권, 제2호, pp.406-421, 1999.
  3. 이종하, "운동선수의 손상과 재활", 코칭능력개발지, 제10권, 제4호, pp.31-40, 2008.
  4. JumpBall, (주)제인앤제이미디어, 제1호, pp.2-3, 2008.
  5. Margareta, M, "New aspects of a well-known syndrome (Down syndrome-Mongolism)",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136, No. 1, pp.5-7, 1981. https://doi.org/10.1007/BF00441703
  6. Sayers, L.K, Cowden, J.E, Newton, M, War ren, B, and Eason, B, "Qualitative analysis of a pediatric strength intervention on the developmental stepping movements of infants with Down syndrome",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Vol. 13, Iss. 3, pp.247-268, 1996. https://doi.org/10.1123/apaq.13.3.247
  7. 김연수, 박상연, 강현주, 석민화, 오정우 “원반트레이닝과 복합 트레이닝이 발목의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13-124, 2004.
  8. Lynch, S.A, “Assessment of the injured ankle in the athlete” J. Athl. Train., Vol. 37, No. 4, pp.406-421, 2002.
  9. Olmsted, L.C., Carcia, C.R.,, Hertel, J. Shultz, S,J., “Efficacy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s in Detecting Reach Defictis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Vol. 37, No.4, pp.501-506, 2002.
  10. Vaatanen, A, Leikas, J, "Human Centred De sign and Exercise Games - Users’ Experiences of a Fitness Adventure Prototype", Springer Netherlands, Vol. 37, pp.33-47, 2009. https://doi.org/10.1007/978-1-4020-9496-5_3
  11. 전병주, “u-Healthcare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한국전산원, 제10호, pp.1-2, 2005.
  12. Bohannon, R.W, "Sit to stand test for me asuring performance of lower extremity muscle. Perceptual and Motor Skill", Vol. 80, No. 1, pp.163-166, 1995. https://doi.org/10.2466/pms.1995.80.1.163
  13. 나경환, “생체 운동신호 감지를 이용한 재활 및 근력보조 로봇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보고서, pp.1-3, 2008.
  14. 김동준, 김회백, 한순자, 김기환, "뇌졸증 환자 740례에 대한 임상 관찰", 대한내과학회지, 제11권, 제10호, pp.647-654, 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