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ORPG의 NPC유형에 따른 서사적 기능 연구

A Study on Typology and Narrative function of NPC in MMORPG

  • 한혜원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
  • 손형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 발행 : 2009.06.19

초록

MMORPG에서의 NPC(Non Player Character)는 게임 서사에서 갈등을 유발하고 극적 사건을 형성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MMORPG 를 중심으로 NPC의 유형과 그에 따른 서사적 기능을 분석했다. NPC는 플레이어 캐릭터와의 관계축, 행동의 태도축에 따라서 크게 소극적 조력자, 적극적 조력자, 소극적 적대자, 적극적 적대자로 분류된다. NPC는 유형에 따라서 변별적인 서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가령 소극적 조력자는 공간이동과 서사 연쇄의 구심점으로 기능하며, 적극적 적대자는 공간 투시를 유도하고 극적 효과를 창출한다. 이처럼 MMORPG에서 NPC는 게임 서사 진행에 있어서 주요한 서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표면적으로 NPC는 게임 서사에 있어서 평면적 제한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면적으로는 플레이어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입체적 확장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다선형적인 게임 서사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ypology of Non Player Character(NPCs) and to look out what narrative functions of NPCs are served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MMORPG). As the relationship with player characters and the propensity of actions, NPCs are classified 4types; passive helper, active helper, passive antagonist, active antagonist. Each type performs different functions of game narrative. Especially passive helper functions as a essential glue of movement in game world and makes the chain of quest narratives. Active antagonist functions as the cause of space perspective and creates dramatic effect of game narrative. Those functions make spacial, dimensional and extensible game narra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Propp, Vladimir, 황인덕 역, 민담형태론, 대방, 1987.
  2. Bourneuf, Roland, Ouellet, Real 공저, 김화영편역, 현대소설론, 현대문학, 1996, pp.286-292.
  3. Greimas, Algirdas Julien, 김성도 역, 의미에 관하여 : 기호학적 시론, 인간사랑, 1997.
  4. Walsh, Andrew S. "Game Characters", in ed ited by Chris Bateman, Game Writing: Narrative Skills for Videogames, Charles River Media, 2007, pp.103-104.
  5. Laurel, Brenda, Computer as Theater, Reading,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93.
  6. Murray, Janet, 한용환.변지연 역,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서울:안그라픽스, 2001.
  7. Ryan, Marie-Laure. "Ludology vs. Narratology? A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aesthetic proper ties of digital media”. Web-based seminar contents for the course offered at the IT University of Copenhagen, October 1-4, 2002. http://www.itu.dk/Internet/research/phd/courses /Courses2002/LudologyvsNarratology/
  8. Frasca, Gonzalo, “Ludologists love stories, too: notes from a debate that never took place“, published in DIGITAL GAMES RESEARCH CONFERENCE 2003 PROCEEDINGS, 2003. http://www.gamesconference.org/2003/ and DiGRA Digital Library, http://www.digra.org/
  9. Laird, J., Van Lent, M., “Interactive computer games: Human-level AI's killer applic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AAI), 2000.
  10. 전경란,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pp.102-110.
  11. Howard, Jeff, Quests: Design, Theory, and History in Games and Narratives, AK Peters, 2008, pp67-69.
  12. Jung, Carl Gustav, 설영환 옮김, 융 심리학 해설, 선영사, 1986, pp.155-171
  13. http://www.mmogchart.com
  14. http://wow.gamemeca.com
  15. Salen, Katie and Zimmerman, Eric, Rules of Play-Game Design Fundamentals, The MIT Press, 2003, pp387-389.
  16. Kristeva, Julia, 서민원 옮김, 공포의 권력, 동문선, 2001, p.21.
  17. Aarseth, Espen, "A Hollow World: World of Warcraft as Spatial Practice", in Corneli ussen, Hilde G. and Rettberg, Jill Walker edits, Digital Culture, Play, and Identity : A World of Warcraft Reader, MIT Press, 2007, p.117.
  18. Jenkins, Henry, "Game Design as Narrative Architecture", in Wardrip-Fruin, Noah and Harrigan, Pat edits, First Person, The MIT press, 2004.
  19. 이인화, "디지털스토리텔링 창작론", 고욱.이인화 편,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p.22.
  20. 한혜원, 디지털 게임의 다변수적 서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21. Stanzel, F.K., 김정신 옮김, 소설의 이론, 문학과 비평사, 1990.
  22. 장일구, “서사적 공간성과 시점론”,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새문사, 1996. pp.50-70.
  23. 김병로, “김승옥 <환상수첩>의 서사담론 분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5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