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nsumer Behaviors in the Consumption of Aging friendly products

고령친화 용품의 소비와 관련된 노인 소비자 행태 특성 -대구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08.08.31
  • Accepted : 2009.02.04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msumer behaviors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organ and company preparing aging friendly industry. This information is actual data which analyzed elderly consumer behaviors according to sociology of Population criterion.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to 600 elderly about the degree of products preference, the criterion of products selection, actual purchaser, the preferring medium. To compare elderly consumer behaviors to young consumer behaviors,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to 400 elderly and young persons. The results are in following. First, the crucial factors of elderly consumers making select products is the function of products. Second, when planning marketing for elderly consumers, company need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elderly consumers behaviors, for instance the educational level, a monthly income level, age, sex, and so on. Third, elderly consumers were the most interested in health products. Specially, male elderly consumers in leisure sports and tour products. Fourth, elderly consumers is active for economic respect and independent for social respect.

본 연구는 노인소비자 특성을 인구사회학적 기준에 따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고령친화 산업을 준비하는 기관과 기업체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제품 선호도, 제품 선택 기준, 제품 구입자, 선호하는 매체를 연령, 성별, 월 소득수준, 교육수준을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였다. 1차 조사는 2008년 5월27일부터 6월 5일까지 노인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1차 조사 후 노인들과 젊은 층과 비교해보기 위해 동년 7월 27일부터 8월 7일까지 400명을 대상으로 2차 조사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1차조사결과 노인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하는 기준은 기능적인 면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제품 구입은 본인이 직접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가장 선호하는 매체는 TV였다. 노인소비자들은 건강에 관련된 제품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남성노인들은 여성노인들에 비해 레저스포츠 및 여행 상품을 많이 선호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노인과 비노인을 비교하였는데 제품선호도, 선택 기준에서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노인소비자들의 특성을 분석하면 첫째, 노인소비자들을 위한 제품은 기능적인 면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노인소비자들은 경제적인 면에서 주도적이고 능동적이며 사회적인 면에서 독립성이 강한 경향이 있다. 셋째, 노인들은 건강관련 제품을 선호하였고 노인소비자에 대한 마케팅 계획에는 성별, 교육수준, 월소득 수준과 같은 배경정보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앞으로 노인소비행태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이고 심도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고 노인소비자 시장을 겨냥한 중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리라 판단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지식경제부 (대구)고령친화 제품 및 서비스 종합체험관 구축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