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lder adults' response to image of older adult

노년담론에 대한 노인의 인식과 대응에 관한 질적 연구: 자아상과 노인상의 차이를 중심으로

  • 이지영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BK21사업단)
  • Received : 2009.05.15
  • Accepted : 2009.08.03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older adults have image of older adult with relation to their self-identity. Fourteen participants are interviewed in this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ir response to image of older adult is divided in the form of 'denial' and 'accommodation' about social images of older adults. 'Denial' has 'total denial' and 'selective denial' while 'accommodation' includes 'acceptive accommodation', 'selective accommodation' and 'unwilling accommodation'. 'Total denial' indicates that the participants describe older adults very negatively, and they regard themselves as a person who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lder person they describe. 'Selective denial' represents that the participants have two types of older adults: negative and positive. They describe that they are close to the positive type of older adults themselves although they do not admit that they are older adults. 'Acceptive accommodating' does not describe older adults negatively, and they identify themselves as older adults. 'Selective accommodating' are very similar to 'selective denial' although the former differs from the latter in that they accept that they are older adults. 'Selective accommodating' also includes negative and positive types of older adults, and this type of participants admit that they are older adults, and believe that they belong to the positive type. In contrast to 'acceptive accommodating', 'unwilling accommodating' describes older adults very negatively. However, the participants belonging to 'unwilling accommodating' comes to accept that they are older adults due to irresistible realities.

이 연구는 노인의 자아정체성과의 관련성 속에서 부정적 노인담론에 대한 노인들의 대응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총 14명이다. 이들은 노인정체성의 유무에 따라 크게 '부정'과 '수용'의 형태로 구분되었으며, 여기서 상위 집단인 '부정' 집단은 '전면적 부정'과 '선택적 부정'으로, 상위 집단인 '수용'의 집단은 '순순한 수용', '선택적 수용', '마지못한 수용'으로 구분되었다. '전면적 부정' 유형은 노인의 자아 인식과 노인의 상이 서로 극과극인 경우에 해당한다. 그들이 인식하는 노인의 상은 매우 부정적이며, 그렇기 때문에 자신은 노인집단에 속하는 사람임을 부정한다. '선택적 부정'과 '선택적 수용' 유형은 노인의 상을 두 가지로 구별한다는 특징이 있다. 노인의 상중에서 하나는 긍정적이며, 다른 하나는 부정적이다. 두 가지의 노인의 상중에서 긍정적 노인의 상은 자신의 자아 인식과 거리가 가깝고, 그에 비해 부정적 노인의 상은 자아 인식과 거리가 멀다. 여기서 '선택적 수용'은 현재 자신이 노인집단에 속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반면, '선택적 부정' 유형은 현재는 노인집단에 속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순순한 수용' 유형은 노인의 상과 자아 인식간의 거리가 가깝다. 그들이 인식하는 노인의 상은 그다지 부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이 노인집단임을 자연스럽게 수용한다. '마지못한 수용' 유형은 노인의 상과 자아 인식간의 거리가 가깝다. 따라서 자신이 노인이라고 수용을 한다. 하지만 '순순한 수용'과는 다르게, 이들 집단의 노인의 상에는 부정적 가치평가가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노인의 상을 수용하는 이유는 개인적으로 거부할 수 없는 현실적 상황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