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applying HSEP on Physical Balance and Gait, Leg Strength, Fear of Falling and Falls Efficacy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HSEP를 적용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신체균형과 보행, 하지근력, 낙상공포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Yoo, In-Young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and Health Science, Jeonju University)
  • 유인영 (전주대학교 대체건강관리학부)
  • Received : 2008.11.28
  • Accepted : 2009.02.25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multifactorial fall prevention program applying HSEP(Home Support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balance and gait, leg strength, fear of falling and falls efficacy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re were 20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in the control group. The fall prevention program consists of HSEP and fall related education.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once a week in the senior citizen center and twice a week at home for 8 week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balance and gait, leg strength(hip extensor, hip flexor, knee flexor, ankle plantarflexor, ankle dorsiflexor) and falls effica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fall prevention program applying HSEP used in this study wa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physical balance and gait, leg strength and falls efficacy. Finally this study would recommended that a fall prevention program applying HSEP should be extended to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elderly welfare center and nursing home.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Home Support Exercise Program(HSEP)을 적용한 다면적 낙상예방프로그램 실시 후 노인의 신체균형과 보행정도, 하지근력, 낙상공포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북 지역 내 일개 시의 2개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연구대상자는 실험군 20명, 대조군 21명으로 총 41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일대일 면담 측정을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사전조사, 실험처지, 사후조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낙상예방프로그램은 HSEP와 낙상예방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로당에서 8주간 주 1회 1시간씩 HSEP 운동과 함께 낙상예방 지식을 교육하였고, 가정에서 주 2회 자가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총 3회/1주의 HSEP 운동을 하도록 하였다. 낙상예방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신체균형감과 보행정도, 하지근력(대퇴신전근과 굴곡근, 무릎 굴곡근, 발목관절 족저굴곡근과 족배굴곡근), 낙상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론적으로 HSEP를 적용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은 재가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해 효과적이었으므로 경로당, 노인복지관, 노인시설 등 다양한 낙상위험 환경에 처해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7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7- 331-E00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