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o far,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to retrieve music information using static classification descriptors such as genre and mood. Since static classification descriptors are based on diverse content-based musical features, they are effective in retrieving similar music in terms of such features. However, human emotion or mood transition triggered by music enables more effective and sophisticated query in music retrieval. So far, few works have been done to evaluate the effect of human mood transition by music. Using formal representation of such mood transitions, we can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more effectively in the new applications such as music recommendation. In this paper, we first propose our Emotion State Transition Model (ESTM) for describing human mood transition by music and then describe a music classification and recommendation scheme based on the ESTM. In the experiment, diverse content-based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music clips, dimensionally reduced by NM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and classified by SVM (Support Vector Machine). In the performance analysis, we achieved average accuracy 67.54% and maximum accuracy 87.78%.
최근까지 장르나 무드 등의 정적 분류 기술자를 이용한 음악 정보 검색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정적 분류 기술자는 주로 음악의 다양한 내용적 특징에 기반하기 때문에 그러한 특징에 유사한 음악을 검색하는 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음악을 들었을 때 느끼게 되는 감정 내지 기분 전이를 이용하면 정적 분류 기술자보다 더 효과적이고 정교한 검색이 가능하다. 사람이 음악을 들었을 때 발생하는 감정 전이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감정 전이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기존의 음악 분류에 의한 검색에 비해 음악 추천 등의 새로운 응용에서 더 효과적인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에 의한 인간 감정 전이를 표현하기 위한 감정 상태 전이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음악 분류 및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내용 기반의 특징을 추출하였으며, 고차원 특징 벡터의 차원 감쇄를 위하여 NM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를 사용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에서 SVM (Support Vector Machine)을 분류기로 사용한 실험에서 평균 67.54%, 최대 87.78%의 분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