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Bernard Lamy's La Rhétorique ou L'Art de Parler

베르나르 라미의 『수사학 또는 말하는 기법(1675)』에 관한 연구

  • 이종오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
  • Received : 2009.02.28
  • Accepted : 2009.04.10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Our research task have goal to describe a treaty rhetoric known as 『La Rhétorique ou L'Art de Parler』(1688) which corresponds to a very wide field of which the step is not yet dubious in our country. Thus to study the rhetoric of Lamy borrowed from the thought of Descartes, we left the concept d' origin of language in traditional rhetoric in connection with logic and grammar (in first part). Also the second part is devoted to the tropes and the figures that are modified and deteriorated by the language of passion called 'rhetoric of passion or psychological of figure', etc. And the third part interests in the body of the speech being the character of l' heart. Under the influence of the rhetoric of Lamy, French rhetoric at the 17th century is held for an essential text when one interests in the history of the ideas and rhetoric, marked in its specificity (passion). The project of Lamy registered in the concept of passion like 'manners of speaking'. To close this study, which does one have to retain? The first remark to note is that Lamy founds his rhetoric in opposition to traditional designs dating from the beginning of Aristote. Second remark is the idea that one finds based in famous the books of Dumarsais at the 18th century and Fontanier at the 19th century. Admittedly, Lamy is a true rhetorician, grammairien which interests in the question of passions in the speech forces to reconsider the idea spread since Mr. Foucault, and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passage of the Great century at the Century of Lumuères. Even if this opinion is not shared, it will be agreed that the work of Lamy on passions or the phenomena sensory and psychological in the center of the language deserves reflexion.

자연과학이 새롭게 발달하던 시기인 16세기에 유럽에서는 수사법(전의나 문채)을 사용하는 장식적 문체가 객관적인 사고를 명료하고 체계적으로 전달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하여 수사학 교육을 받은 이들의 권위가 비판, 부정되어왔다. 이에 반해 17세기 프랑스에서는 문체의 교육과 연구가 다시 활발히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흐름이 르네상스에서 계몽주의 시대의 수사학, 낭만주의 시대의 수사학을 거쳐 최근에는 수사학의 신고전주의라는 이름으로 전통적 수사학을 대신할 새로운 수사학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물론 17세기 프랑스에서는 위와 같은 시대적 변동기를 맞이하여 수사학의 죽음과 부활이라는 엄청난 교육적 이데올로기 투쟁의 파편이 역사적으로 남아있기도 하다. 본 연구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수사학자 베르나르 라미Bernard Lamy의 『수사학 또는 말하는 기법』을 해제, 분석함으로써 17세기 후반 프랑스의 고전 수사학을 조망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생 오기스탱, 데카르트, 포르루와이알Port-Royal의 후계자임과 동시에, 루소의 스승인 라미는 언어는 이성과 재현의 요구 또는 우리 자신도 모르게 표현되는 정념들에 기인하는 것인가? 언어의 영역은 명제의 이성적인 영역과 일치되는가? 그리고 그것은 각 민족의 자연적인(타고난) 감성과 적합한가? 와 같은 테제를 중심으로 수사학에 관한 중요한 논거들을 조리 있게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본 라미의 저서를 통해 17세기의 수사학, 특히 다양한 문체의 문채들과 관련되어있는 정념情念의 형식과 이론을 비롯하여, 인간언어의 기원과 역할, 17세기의 수사학 원리, 문법과 논리, 문채와 전의, 정념의 수사학(문채의 심리학) 등과 같이 '말하는 기법'으로 이해된 라미의 수사학과 언어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06년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06-A0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