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Yupoongyangyeong-tang(YYT) on the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in Rats

유풍양영탕(愈風養營湯)이 정상 흰쥐의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혈압에 미치는 영향(影響)

  • Cho, Gook-Ryu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An, Ga-Yo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Jeon, Sang-Yu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조국령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가영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전상윤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upoongyangyeong-tang(YYT) on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BP) in rats. In addition, the author also investigated action mechanisms of YYT on changes in rCBF and MABP.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treatment with YYT elevated rCBF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MABP levels were elevated only in the 10 mg/ml treatment group.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an inhibitor of cyclooxygenase, inhibited increase of rCBF effectively. Pre-treatment with methylene blue,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inhibited increase of rCBF induced by YYT, too. In addition.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also inhibited increase of MABP. However, pre-treatment with methylene blue did not affect MABP level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YYT is useful to treat patients with diseases related to cerebral ischemia, because YYT can increase rCBF. In addition, the mechanisms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both cyclooxygenase and guanylate cyclase.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신경외과학회. 신경외과학, 서울: 중앙문화사; 1998, p. 150-6, 275-6.
  2. 김남용. 보양환오탕이 혈압 및 국소뇌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8.
  3. 박병민, 홍재의, 고영철, 신조영, 이시형. 삼소음 이 백서의 국소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괴지. 2002;23(1):33-9.
  4. 의과대학 신경해부학교수 편. 증례를 통한 임상 신경해부학. 서울: 한우리; 1998, p. 191.
  5. 신우진, 서수현, 홍현우, 이성도, 김재연, 김철우. 중풍환자 중 언어장애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3):529-38
  6. 노영만. 청신양영탕이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 할압에 미치는 실험적 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4.
  7. 전상윤. 祛風除濕湯이 흰쥐의 腦血流 變化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3):596-604.
  8. 김용진. 滋潤湯이 뇌혈류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5.
  9. 김성진. 大補元煎의 腦血流 增加效果에 대한 實驗的 硏究.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6.
  10. 정국영. 淸肺瀉肝湯 靜脈注入이 血壓, 局所腦血 流量및 腦軟膜動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11. 손상곤. 凉膈散火湯이 腦血流 및 腦虛血 손상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12. 김대영. 車前根과 車前葉의 흰쥐 일시적 국소 뇌허혈에 대한 신경보호 효과. 경희대동서의학 대학원. 2005.
  13. 하니나. 密蒙花의 뇌허혈 모델에서 신경보호효능에 관한 연구. 경희대동서의학대학원. 2005.
  14. 김호근. 뇌혈류 및 혈압에 미치는 반하의 효능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2.
  15. 황일택. 뇌혈휴와 혈압에 미치는 오미자의 효능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2.
  16. 조남근. 足三里 刺針이 血壓과 腦血流力學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16(4):307-19.
  17. 이순호. 中風七處穴 刺針이 腦血流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3):83-97.
  18. 신동훈. 大敦 少府 瀉法刺針이 腦血流力學 變動 改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1) :33-50.
  19. 이윤영. 行間 刺針이 腦血流力學 變化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4.
  20. 오희홍. 左側 合谷 刺針이 腦血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核醫學적 考察. 8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0.
  21. 金永勳. 晴崗醫鑑. 서울: 成輔社;2001, p. 230.
  22. Chen ST, Hsu CY, Hogan EL, Maricque H, Balentine, JD. A model of focal ischemic stoke in the rat : reproducible extension cortical infarction, Stroke 17:738-743, 1986. https://doi.org/10.1161/01.STR.17.4.738
  23. 김경환.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제4판). 서울: 의학문화사. 1998, p. 82, 120-124, 146, 355, 397, 404, 432-442.
  24. 문형배 外7人. 일반병리학. 서울: 고문사; 2004. p. 394-9.
  25.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2006, p. 393-4.
  26. 정종안. 勻氣散이 흰쥐의 국소뇌혈류량 및 평균 협압에 미치는 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6.
  27. 신민교. 임상본초학. 서울; 영림사:2002, p. 172, 237, 240, 249, 294, 308, 321, 326, 328, 469, 525, 531, 650, 712, 760, 819.
  28. 김우겸. 인체의 생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 p. 30-47, 107-18.
  29. Wang Q, Pelligrino DA, Paulson OB, Lassen N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NG-nitro -L-arginine and indomethacin on the hypercapnic cerebral blood flow increase in rats. Brain Res. 1994;641(2):257-64. https://doi.org/10.1016/0006-8993(94)90152-X
  30. 양현모, 임순성, 이연실, 신현경, 오양석, 김진경. 토종 복분자와 외래종 복분자 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007;39(3) :342-7.
  31. 권순용, 이화성, 이순혁, 임군일, 김시나, 김희석, 황성완, 황성연. 신규 생약 복합추출물에 의한 Prostaglandin E2활성억제, 염증성 Cytokine 생성 저해 및 진통 작용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2006;37(3):136-42.
  32. 송호준. Wnt와 Prostaglandin E2경로에 의한 마우스 위암 발생. 대한소화기학회지. 2007;49(5) :341-2.
  33. 이승연, 김희석, 김정옥, 황성완, 황성연. 곽향과 갈근 복합제제의 대장암 세포주 HT-29증식 저해효과 및 PGE2생성 억제효과. 생약학회지. 2006;37(4):283-94.
  34. Iwamoto J, Yoshinaga M, Yang SP, Krasney E. and Krasney, J. Methylene blue inhibits hypoxic cerebral vasodilation in awake sheep, J. Appl Physiol. 1992;73(6):2226-32.
  35. facilitates induction of cardiac myosin-specific type 1 helper T cells in rats, Circ Res. 1998; 82(10):1035-42. https://doi.org/10.1161/01.RES.82.10.1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