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ages of Fashion Advertisements using Mirrors

거울을 이용한 패션 광고의 이미지 연구

  • Choi, Yoo-J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8.07.07
  • Accepted : 2009.03.17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Mirrors often appear in fashion advertisemen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meanings of the images represented in fashion advertisements using mirrors.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s of mirror image in Western art history, and also studied meanings of female representations in the painting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lassified mirrors' expressions in three types and analyzed their meaning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three types, this study researched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mirrors in visual arts chronologically, first. And then, this study interpreted that in the context of consumption cultures and consuming ideologies in view of feminism, consumption ideology, desire theory, and fetish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Narcistic body expressions associated with strong and independent women, while associated submissive being overwhelmed by consumption cultures. 2. The method of revealing the female body throughout mirrors was meant to attract the attention of consumer. 3. Multiplied body images meaning was like a commodity in fashion advertisem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영구. 1996. 소비 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민음사, p. 203
  2. 고영림. (2003). 정신분석학을 활용한 패션 비평 방법론에 관한 연구-패션 광고 사진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현진. (2006). 시선을 중심으로 본 주체와 욕망의 메커니즘-자크 라캉의 시각이론을 중심으로. 뷔히너와 현대문학, 27, 363-384
  4. 백찬욱. (2003). 서구 회화에서의 거울놀이와 소통양식. 한국프랑스학논집, 41, 41-62
  5. 아이자로와 코타로. (1996). 사진과 페티시즘. (이병용 역). 서울: 타임스페이스, p. 40
  6. 엄정윤. (2003). 기계론적 커뮤니케이션 개념에 대한 비판. 아도르노와 벤야민의 '물화(reification)'개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7. 윤성준. (2007). 거울유희로 본 타이포그라피의 유희적 표현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두원, 김은희. (2004). 한국근대 소비문화 변천사 연구, 근대신문광고(1886-1949)에 나타난 소비가치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5(3), 207-234
  9. 이민선, 김민자. (2001).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1)-남성 패션에 표현된 에로티시즘을 중심으로-. 복식, 51(1) 163-174
  10. 이영자. (1997). 소비광고 속의 남성과 신여성. 성평등 연구. 9, 219-247
  11. 이현. (2009, 2). 거울과 자화상. 예술의 전당. 서울: 예술의 전당, 자료검색일 2009. 03.17, 자료출처 http://www.sac.or.kr
  12. 임헌혁, 최윤정. (2005). 현대 광고의 포스트모더니즘 현상과 소구 방법에 따른 기법 연구. 디자인 연구, 8(2), 105-112
  13. Baudrillard, J. (1991). 소비의 사회 : 그 신화와 구조 (이상률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저 1970년), pp. 189-191
  14. Bonnet, S. (2001). 거울의 역사 (윤진 역). 서울: 에코 리브르. (원저 1994 출판), 136, pp. 143-144, 271
  15. Ewen, S. (1998). Captains of Consciousness: Advertising and the Social Roots of the Consumer Culture, New York: Basic Books, 2001, p. 38
  16. Rabine, L. W. (1994). A Woman'S two Bodies: Fashion Magazines, Consumerism & Feminism. in Ferris, Benstock(Eds.), On Fashion(pp,59-75), N. J.: Rutgers Univ.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