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Caused by Construction of Groundwater Dam

지하댐 건설에 따른 유역 내 지하수위 변화 특성 해석

  • Kim, Jong-Tae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Man-Il (Geological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
  • Chung, Il-Moon (Hydrolog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Nam-Won (Hydrolog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Jeong, Gyo-Cheol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종태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만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문연구실) ;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Most of hydrological processes of groundwater recharge generally are occupied a rainfall, and recharged an aquifer along infiltrate into subsurface. These processes mainly have an influence by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pographic gradient of the aquifer.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and its management is not good because of temporal and spatial disproportion in local rainfall. In order to deal with insufficiency of water resources from now on, development of groundwater dam requires a plan of a sustainable of new water resources. These are necessary that investigation of construction area of groundwater dam, effective groundwater development interconnected with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and assessment of an application of groundwater dam for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Tn this study we were derived the input data by geological survey, hydraulic and hydrological analysis around Hoengchun-river, located in Hadong-gun, Gyeongsangnam Province where is a plan area for construction of groundwater dam. Based on input data we were carried out the interconnected analysis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using the SWAT-MODFLOW, and predicted groundwater fluctuation of its construction before and after.

우리나라는 수자원 특성상 강우의 시간적, 공간적 불균형이 심하여 수자원 개발과 관리여건이 대단히 열악하다. 이에 따라 현시점에서 향후 물 부족에 대처할 신규 수자원의 안정적 확보방안의 하나인 지하댐의 건설 예정지를 파악하고 지표수와 지하수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개발 이용 가능한 지하댐 개발의 국내 적용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는 지하댐 건설 예정지인 경남 하동군 횡천강 일대의 지질조사, 수리 수문학 분석 등을 통해 프로그램 입력 자료를 산정하였다. 또한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SWAT-MODFLOW를 통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연계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하댐 건설전과 후의 지하수위 변화를 예측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환, 2007, 지하댐 효용성의 모델링 평가, 공주대학교 대학원, pp.26-48
  2.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 2004,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I)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7권 제6호, pp.499-507 https://doi.org/10.3741/JKWRA.2004.37.6.499
  3. 김동준, 2007, 지하댐에 의한 수자원 확보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관동대대학원, pp.1-3
  4. 박민웅, 2003, 지하댐 주위에서 지하수 흐름특성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대학원, pp.54
  5. 임형준, 2002, 지하댐이 있는 유역의 지하수 흐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pp.80-81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개발) 보고서
  7. 한국동력자원연구소(1989), 한국지질도 하동도폭 1 : 50,000
  8. Hanson, G., Nlsson, A.(1986), Ground-Water Dams for Rural-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GROUND WATER, 24(4), 497-506 https://doi.org/10.1111/j.1745-6584.1986.tb0102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