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Waste Concrete Powders Originated from the Recycling Process of Waste Concrete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미립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 Kim, Jin Man (Dept. of Architec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Cheol (Dept. of Architec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a Suk (Dept. of Architec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07.30
  • Accepted : 2009.08.18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According to the great city development and the rapid growth of redevelopment project, waste concrete emission has been increased. Waste concrete powder is one of the by-product originated from the recycling of the waste concrete. The more making high quality recycled aggregate to use aggregate for concrete, the more waste concrete powder is producted relatively. Therefore, to realize the total recycling of waste concrete, development of recycling technology for waste concrete powder need very much. This technical note present the discharged process and the various properties of waste concrete powder. As the results, on the average, the maximum particle-size of waste concrete powder is less than $600{\mu}m$, and oven-dry density is less than $2.5g/cm^3$. And waste concrete powder contains more than 50% of $SiO_2$, 30% of CaO and 10% of $Al_2O_3$. Thus qualities of waste concrete powder is lower than those of high quality raw material for concrete. However, if it is processed by grading to the purpose, it will be used as resource of raw materials for construction field.

대도시 개발과 재개발 사업의 빠른 성장에 의하여 폐콘크리트 폐기물은 날로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폐콘크리트는 파쇄 및 분쇄 과정을 거쳐 지반 다짐용이나 채움재, 아스팔트용,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 중에 폐콘크리트 미분말이 발생한다. 미분말의 발생은 일반적으로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하여 골재화 하였을 경우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많은 폐콘크리트 미분말이 발생된다. 따라서 폐콘크리트의 완전 재활용에 있어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재활용 기술은 매우 필요하다.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재활용 기술은 미립분이 발생되는 배출공정과 폐콘크리트 미립분의 다양한 특성 그리고 폐콘크리트 미립분으로 만든 오토클레이브 양생된 제조품의 특성에 대한 실험결과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폐콘크리 미립분의 품질은 폐콘크리트 원석의 품질이 열악할수록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만약 다짐재로서의 사용처를 제안한다면 건설현장의 천연자원으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폐콘크리트 미립분을 순환골재 생산과정에서 재활용 용도에 적합한 입도선별 및 처리과정을 거친다면 건축의 벽체 및 칸막이용으로 사용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규사분 대체재와 알카리 성분을 이용한 수질개선제품 등 여러 분야에서 그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