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Shape of Seong-ryong Ryu's Armor

서애 류성룡 갑옷의 형태 복원을 위한 기초조사

  • Park, Ga-Young (The Academy of Korean Royal Court Culture) ;
  • Lee, Eun-Joo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Due to the severe damages, it is very difficult to fathom out the original shape of the armor of Seong-ryong Ryu(1542-1607) right now. Ryu was a distinguished scholar official of his period, and his remaining armor has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No. 460. This is a study of the types of the used scales, their positions used, the methods of their connections, and their hemmings, to figure out the original process of producing the armor.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maining pieces of the armor are restored according to the discovered contemporary procedure of the armor. Then hypotheses are proposed for the three kinds of armor made up of long pieces, and three kinds of the armor of short pieces, and problems of the proposed hypotheses are considered for further studies. Hopefully this kind of approach shall serve as a ground stone for the better restorations of the scale armors of Joseon period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柳漢翊 (1985). 朝鮮時代 甲冑에 對한 金屬學的 考察 : 西厓 柳成龍 先生의 甲冑分析. 대한금속학회지, 23(2), pp. 154-157
  2.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의 갑주. 서울: 문화재관리국, pp. 100-101
  3. 문화재청 홈페이지의 문화유산정보 중 문화재 검색 결과. 자료검색일 2008.10.2, 자료출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KS_0l_02_01& VdkVgwKey=12,04600100,37&queryText=(('류성룡')(z_title.z_content))(460호)
  4. 류성룡 갑옷은 낚시 줄 또는 시침실로 연결된 부분이 남아 있어 과거 전문가에 의해 몇 차례 보수된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또 전국적인 이동 전시나 조사 등에 의해 가죽끈이 부식되고 끊어지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한다는 점에서는 보수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어떤 부분은 잘못 보수되어 유물이 편안하게 놓이지 않을뿐더러 자칫 형태나 규격을 왜곡 시킬 가능성이 있는 곳도 있으므로 현재 보수된 부분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5. 반면에 서애의 투구 유물은 가리개부분을 작은 철제 갑편들을 만들어 상하좌우로 연결하였다
  6. 周禮 卷40 冬官 考工記 函人 조항에 爲甲. 犀甲七屬. 兕甲六屬. 合甲五屬. 犀甲壽百年. 兕甲壽二百年. 合甲壽 三百年. 라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피갑(皮甲)의 유물 중에는 여반(呂攀:1699~1773) 유물, 육군박물관 소장 유물 2점 등이 가죽을 3겹 겹쳐서 갑편을 만든 합갑(合甲)이다
  7. 世宗實錄 卷133 五禮 軍禮 序禮 兵器. 以生猪皮爲札 用烟鹿皮編成曰 皮甲. 기록에 의하면 피갑 갑편의 연결은 그을린 녹피(鹿皮), 즉 사슴가죽으로 연결하도록 되어있으나, 본 유물은 양가죽 혹은 돼지가죽으로 연결된 것으로 짐작된다
  8. 철판을 연결하여 만든 고대(古代) 갑주 유물을 보면 혁뉴(革紐) 목륜 . 혁포(革包) 복륜 . 절판(折版) 복륜 . 철판(鐵板)복륜의 4가지로 구분되는데, 이중 가죽끈이 사용되는 혁뉴복륜과 혁포복륜은 상하 좌우 가장자리에 가죽 끈을 끼우기 위한 구멍이 필요하다. 서애 유물은 갑편의 가장자리에 구멍을 촘촘히 뚫어 가죽 끈으로 감치는 혁뉴복륜 기법을 쓰고 있다
  9. <그림9>는 중국 광주 서한 남월왕묘에서 출토된 철갑옷의 상단 갑편 연결방식이며(劉永華 (2003). 中國古代軍戎服飾.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p. 205), <그림 10>과 <그림 11>은 일본 출토 갑옷 유물 복원품의 갑편 연결방식과 중국 서장(西藏) 원주민 갑옷의 갑편 연결방식이다.(末永雅雄(1981). 增補 日本上代の甲胄: 圖版篇. 東京: 木耳社, 도판 제43과 도판 제93.)
  10. 世宗實錄 卷133 五禮 軍禮 序例 兵器
  11. 國朝五禮序例 卷4 軍禮 兵器圖說
  12. 樂學軌範 卷9 黃畵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