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데이터 표준구축공정의 관리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management Methodology of Spatial Database Standard Construction

  • 최병길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나영우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기술연구소)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데이터 구축공정에 표준으로 적용 가능한 관리방법론을 연구하는데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구축공정 및 품질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기준인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어서 국가예산이 낭비될 우려의 소지가 있다. 또한 현재 공간데이터 구축과 관련된 법규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서 공간데이터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공간데이터의 제작 및 품질검사와 관련이 있는 법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한 공간데이터의 품질관련 연구 등 각종 문헌자료, 지방자치단체의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한 경험이 있는 주요 업체의 공간데이터 제작공정 및 작업방법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GPS에 의한 기준점 측량, 수준측량, 항공사진촬영, 수치지도 제작, 지형도 제작, 수치표고자료 제작, 항공사진 DB 구축, 정사영상지도 제작 등 8개 사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표준화된 관리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tandardize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Up to now, a systematic standard for constructing process and quality management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Korea, thus, it is possible for the national budget to be wasted. The regulations related to constructing spatial data are also obscure, and absurd for feasible application to reality, which results in a lack of reliability of the quality of spatial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regulations related to spatial data quality and various literature, including studies on spatial data quality conducted by the NGII. And also, the study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nstructing processes and working methods of major firms that have experience in constructing a GIS for a local governing body. Based on the analyzed data, we standardized work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methodology for control point surveying using GPS, leveling, aerial photographing, digital mapping, topographic mapping, digital elevation modeling, aerial photographic DB construction, digital orthophotomap.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석 (1998), 표준정보분류체계에 의한 CM 및 건설 CAL의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I)공사분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8권, 제 I - 5호, pp. 737~748
  2. 건설교통부 (2000), 지하시설물도 수치지도화사업 관련 규정집, 건설교통부
  3. 건설교통부 (1992), 수치지도 작성 작업규칙, 건설교통부
  4. 건설교통부 (2001),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 공고 제 2001-230호
  5. 국토지리정보원 (1999), 수치지도 품질관리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6. 국토지리정보원(1998), 수치지도 검수 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7. 국토지리정보원(1998), 수치지도 작업지침 개선 연구, 국토지리정보원
  8. 국토지리정보원(1995), 수치지도작성 작업 내규, 국토지리정보원
  9. 김재영, 정문섭, 신동빈 (2002), 국가기본도 수치지도화 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10. 서명석 (2002), 공정관리학, 서우
  11. Australian Surveying & Land information Group (AUSLIG) (2006), http://www.auslig.gov.au
  12. Australia New Zealand Land Information Council (ANZLIC) (2006), http://www.anzlic.org.au
  13. Commonwealth Spatial Data Committee (CSDC) (2006), http://www.csdc.gov.au
  14.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Committee (1997), Uniclass(Unified classification for construction industry), first ed., RIBA Publication, London
  15. Construction Specifications institute (2002), Construction Specificatinos Canada $MasterFormat^{TM}$ Expansion Task Team Stakeholders' Symposium II, Ottawa, Ontario
  16. ISO (2000), ISO/PAS 12006-3,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Works-Part 3 : Framework for Object-oriented Informatino Exchange
  17. Leen S. K. and Boyd C. P. (2000), Information Classification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by Uniclass, Journal of CEM, ASCE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0)126:2(158)
  18. $MASTEFORMAT^{TM}$ 2004 EDITION(2004), The Construction Specifications Institute, $MASTEFORMAT^{TM}$
  19. 建設情報標準分類体系(JCCS) (2005), 開発ガィドラィン(案) Ver 1.1, コ一ド小委員会
  20. 日本国土交通省 (2009), http://www.milt.go.jp
  21. 日本国土地理院 (2009), http://www.gsi.go.jp
  22. 日本測量恊会 (1996), 建設省 公共測量 作業規定, 日本測量恊会
  23. 日本測量恊会(1996), 建設省 公共規定 解析と 運用, 日本測量恊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