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측지계 전환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The Research on scheme for revitalization of Conversion into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 손덕재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이현직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유영걸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9.06.30

초록

국가측지계는 지도제작 분야, 국토의 개발에 있어 단일한 위치기준을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서 국가에서 법령으로 정의하고 유지관리를 하고 있다. 최근까지 세계 각 국가에서는 천문측량에 의한 독자적인 측지계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우주 위성측지기술의 발전으로 전 지구 규모의 고정밀 측지기준계(세계좌표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1년 12월 측량법을 개정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Bessel 타원체를 준거타원체로 하는 기존측지계에서 GRS80타원체를 준거타원체로 하는 세계측지계로 국가측지계를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어 세계측지계로의 전환을 위한 기술적 제도적 기반이 어느 정도 갖추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국토지리정보원, 국토해양부 및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세계측지계 전환을 추진하고 있어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세계측지계 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세계측지계 전환의 기술적, 제도적 문제점 및 저해 요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이에 대한 정책적 실행방안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결과 및 자료조사, 세계측지계 전환 추진현황을 분석하고 세계측지계 전환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술적, 제도적 보완사항을 제시하고, 전환 대상 및 전환 유형에 대한 표준화를 수행하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 및 유관기관의 업무범위 제시 및 2010년 세계측지계 전면 사용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세계측지계 전환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The Nation Geodetic Reference System which presents a consistent location standard used in creating a map or developing national land is defined and managed by the law in a nation. Each nation had used its own geodetic system created by astronomical surveying until recently, when Geodetic Reference System(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progress in space and satellite geodetic technologies. Korea also amended its geodetic law in December 2001, converting its national geodetic system whose reference an oval figure is Bessel ellipsoid into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which uses GRS80 ellipsoid as reference ellipsoid. Accordingly, the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Institute improved law and systems related to the change for the effective conversion from its national geodetic system into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In additio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of the results of various studies is drawn to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for switching technology-met some of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Despite of accordance with formalitie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some local government of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and local government has or has not spread in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switch to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it is required to analyze current technic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and obstacles of the switch to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and to present the resolutions and to establish policy to achieve them. Accordingly, for the promotion of the switch to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ate of the switch to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and the problems of the switch, and then offered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s. Furthermore, it standardized the subject and type of the conversion, defined the scope of the task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nd its related organizations, and presented the policy direction for the overall use of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by 2010.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연구원(2007), 국가공간정보에 대한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방안
  2. 국토지리정보원 (2003), 수치지도 좌표계 전환에 관한 연구 II
  3. 국토지리정보원 (2005), 1/1,000 수치지형도 좌표계변환 표준 작업지침(Ver 1.0)
  4. 국토지리정보원 (2008), 공공측량성과 세계측지계 전환 기술지침서
  5. 국토지리정보원 (2009), 세계측지계 전환 활성화 연구
  6. 국토해양부 (2001), 세계좌표계 도입에 따른 기준점 구축 및 관리방안
  7. 서울시립대학교 (2005), 세계측지계좌표계 도입과 지자체의 대응방안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서울시 지리정보 대응방안 연구
  9. 신동빈 (2008),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제 2호, pp.183-191
  10. 이광현 (2007), 지지체 GIS DB의 세계측지계 전환 방안에 관한 연구
  11. 이현직, 유지호 (2007), 국가측지좌표계 전환에 따른 변환계수 결정 및 도시기반정보 데이터베이스 변환- 원주시를 대상으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5권, 제2호, pp. 141-148
  12. 임일식, 이민석, 이석배, 김병국 (2003),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른 지적측량 기준점의 지역좌표 변환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한국지적학회, 2003년, 제 2호, pp. 159-172
  13. 조재관 (2007), GIS 기본도 및 DB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 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