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areer Education Related Content in Australian Regular School Curricula

호주 초·중등교육 정규교과에서의 진로교육 내용 분석

  • Kim, Nar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Jeong, Jinchul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01.15
  • Accepted : 2009.03.19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Radical changes in modern society have influenced on the nature of the works an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ducation is emphasized more than any time. Various scholars have continuous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ducation in regular schools. Most career educations in regular schools, however, consist of one-time event-oriented programs because of the systematic limitations immanent in Korean school syste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chool system, scholars have contended that career educations in regular schools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subjects and the curricul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emplary cases of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s integration in developed countries. The targe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was the career education related content in Australia because Australian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made great efforts in integrating the career education into the regular school curricula. With interviews and literature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subjects integration in federal and local governmental levels and the career education related contents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a of local governmental level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areer education components were mainly contained in the PDHPE(personal development,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 in New South Wales; 2) Understandings of a wide range of work were emphasized in the cross-curricular perspective in South Australia; 3) Career education components were mainly contained in the SOSE(studies of society and environment) subject in Victoria; and 4) Career education related contents were integrated mainly in the 'inner learner' unit in Essential Learning subject in Northern Territory. The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outcomes of the study and the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the ap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nd the future researches.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직업세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진로 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체계적인 진로교육에 있어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 중요하다는 논의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교육은 행사위주의 단발성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 현실이다. 비록 많은 학교에서 「진로와 직업」 교과를 선택하여 운영하고 있기도 하지만, 학교 체제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내실 있는 진로교육이 운영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기존 교과와 교육과정 측면에서 연결되어 시행되어야 한다는 의견들이 최근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교과통합에 의한 진로교육의 선진 외국 사례 분석은 향후 우리나라의 학교 진로교육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교육과정 내에 진로교육을 통합시키려는 많은 노력이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호주의 사례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인터뷰와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호주 연방정부 및 주정부 수준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현황과 주정부별 정규교과 내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NSW주의 건강 및 체육 교과에는 자신과 대인관계를 포함하여 진로교육 요소가 중점적으로 포함되어 있었고, SA주의 경우는 일의 세계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를 범교과적으로 강조하고 있었으며, VIC주는 사회 및 환경교과에 진로교육 요소가 중점적으로 포함되어 있었고, NT주의 경우에는 핵심학습 교과의 내적학습자 단원에 진로교육과 관련된 내용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교과통합 진로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