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General Hospital Nurses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

  • Received : 2009.10.21
  • Accepted : 2009.11.24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hospital nurses. Method: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90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 city from September 1 to 15, 2008. The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test by SPSS WIN 14.0. Results: With the NIOSH criteria 1,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prevalent in 66.8% of the subjects.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by body parts appeared mostly on leg/foot(40.6%) and followed by shoulder (38.7%), waist(30.3%), neck(23.6%), hand/wrist/finger(14.0%) and arm/elbow(4.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val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by age, work department, career and job stress. Conclusion: When developing a management program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of hospital nurses,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nurses' work considering each hospital's nursing administration system.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실(2007). 종합병원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련성.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종은((2003). 조선업 종사 근로자들에서 근골격계증상 유병률과 위험요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철호(1999). 간호업무종사자의 근골격계증상 유병정도 및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노동부(2008).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Retrieved July 15, 2008, from http://www.law.go.kr/LSW/LsTrmSc.do?menuId=0&query=%EC%82%B0%EC%97%85%EC%95%88%EC%A0%84
  5. 박정란(2006).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자각증상과 위험요인.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박정선, 이나루, 이윤근, 정진주, 임상혁, 명정신, 박희석, 현수돈(2002). 사업장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개발. 인천: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7. 배정이, 서문자(1989).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9(3), 259-272.
  8. 배창호(2006). 중공업에서의 근골격계 질환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관한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백도명(1992). 비전염성 유해물질을 중심으로 본 병원 근무상의 건강유해요인. 대한간호, 31(3), 12-21.
  10. 백정희(2001). 미용사들에 있어서 근골격계 증상호소율과 직업적 특성과의 연관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정선(2006). 수술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질환 증상에 대한 영향.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안미경(200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유정민(2005).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관석, 김재형(2005). 근골격계질환 감소를 위한 인간공학적 Intervention. 과학기술연구논문집, 16, 761-770.
  15. 이유진(2002). 중환자실 간호사의 작업자세에 따른 신체부담 및 근골격계 증상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 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정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옥,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숙정, 손동국(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17. 전홍진, 김숙영(2003). 여성근로자 보건관리지침개발(2차년도) -여성근로자의 건강장해요인과 영향분석. 인천: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8. 정인호(2008). 일부 지역 치과기공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자각증상 관련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정현숙(2004). 간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대한 작업관련 위험요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조권한(2002). 병원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증상유병률과 위험요인.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최혜선(2007). 생산직 남성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대처.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한국산업안전공단(2003).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지침. KOSHA CODE H-30-2003.
  23. 한국산업안전공단(2008). 우리나라의 근골격계 질환자 발생 추이 분석(1998-2007).
  24. Bongers, PM., de Winter, CR., Kompier, MA., & Hildebrandt, VH. (1993).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5), 297-312. https://doi.org/10.5271/sjweh.1470
  25. Edril, M., & Dickenson, O. (1997)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reven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NJ: John Wiley & Sons.
  26. Engkvist, I., Hagberg, M., Linden, A., & Malker, B. (1992). Over-exertion back accidents among nurses' aides in Sweden. Safety Science, 15(2), 97-108. https://doi.org/10.1016/0925-7535(92)90010-W
  27. Estryn, M., Kaminski, M., Peigne, E., Maillard, M., Pelletier, A., Berthier, C., Delaporte, M., Paoli, M., & Leroux, J. (1990). Strenuous working condition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female hospital work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2(1), 47-57. https://doi.org/10.1007/BF00397848
  28. Lusted, M., Carraso, C., Mandryk, J., & Healey, S. (1996). Self reported symptoms in the neck and upper limbs in nurses. Applied Ergonomics, 27, 381-387. https://doi.org/10.1016/S0003-6870(96)00030-0
  29. NIOSH. (2001). Women's Safety & Health Issues: Fact sheet. Retrieved October 20, 2008. from http://www.cdc.gov/niosh/01-12.html
  30. OSHA. (2000). Ergonomics: The Study of work. Retrieved June 10, 2008, from http://www.nccer.org/documents/safety/ErgonomicsTheStudyofWork2000OSHA312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