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근로자를 대상으로 산업간호사가 제공한 맞춤형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Tailored Life Style Improvement Program for the Hypertensive Workers Provided by Occupational Health Nurse

  • 투고 : 2009.11.02
  • 심사 : 2009.11.24
  • 발행 : 2009.11.30

초록

Purpose: To confirm the effect of tailored life style improvement program, provided by occupational health nurse for hypertensive workers on their blood pressure, self-efficacy, and life style changes in workplace. Metho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of thirty subjects each were randomly assigned for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mong the pre-hypertensive workers. The tailored life style improvement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ducted once a week for 8 weeks. This program was composed of exercise and low salt diet to control high blood pressure and weight, and the measurement of carbon monoxide for non-smoking inducement. Resul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self-efficacy increased after the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moking and drinking habi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exercise and nutritional habi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tailored life style improvement program provided by occupational health nurses for the hypertensive workers was positively affected on their blood pressure, self-efficacy and life style changes in workpla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환 (2002). 보건관리 대행서비스를 받고 있는 아파트관리업무 종사자의 고혈압 관리 효과 및 관련요인.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업무처리 요령 생활습관 평가 처방 매뉴얼.
  3.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건강보험통계연보.
  4. 권은하 (2002). 건강교육 프로그램이 고지혈증 근로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한 생활양식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선희 (1995). 중소규모 사업장에서의 고혈압근로자에 대한 보건관리 효과. 한국산업간호학회지, 4, 30-38.
  6. 김영임, 정혜선, 배경희 (2007). 건강증진 이론과 적용. 서울: 에피스테메.
  7. 노동부 (2007). 산업재해 발생현황.
  8. 대한고혈암학회 (2007). 고혈압모니터링 지침
  9. 박영임 (1994).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을 위한 자기조절프로그램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오장 (1997). 사회적지지가 고혈압환자의 역할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9(2), 175-188.
  11. 보건복지부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12. 송경자 (2001). 자기효능강화 심장재활프로그램이 자기효능, 건강행위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송라윤, 이해정 (2000). 원내 심장재활프로그램이 심혈관질환자의 행동수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0(2), 463-475.
  14. 오윤정, 박정숙 (1997). 효과기대 증진 프로그램이 고혈압 환자의 자기효능과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중앙의학, 62(2), 199-215.
  15. 이현정 (2003). 보건소 진료실을 이용한 개별보건교육이 고혈압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장윤정 (2007). 포괄적 교육프로그램이 고혈압환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행위 이행 정도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혜선 (2002). 행동변화단계이론과 생태학적모형을 적용한 소규모 사업장에서의 고혈압관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정혜선, 윤순녕, 전경자 (2002). 소규모 사업장의 고혈압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1(2), 158-163.
  19. 진영란 (2002). 보건소 내원 고혈압 환자의 생활요법 실천과 관련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통계청 (2007).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구성비.
  21. 홍은영 (2004). 고혈압 남성근로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Atilla K., & Vasan RS. (2006). Prehypertension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Exoert Rev Cardiovasc Ther, 4(1), 111-7. https://doi.org/10.1586/14779072.4.1.111
  23. Maruthur NM., Wang NY., & Appel, LJ. (2009). Lifestyle interventions reduce coronary heart disease risk. Circulation, 119(15), 2026-31.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8.809491
  24. Suri MF., & Qureshi AI. (2006). Prehypertension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J Cardiovasc Nurs. 21(6), 478-82. https://doi.org/10.1097/00005082-200611000-0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