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은정, 박혜자, 조민우, 신호성, 김나연 (2006). EQ-5D를 이용한 건강수준의 가치 평가.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2(2), 19-25.
- 구본진 (2008). 중년 여성의 극복력, 희망, 부부 친밀감 및 가족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7(4). 421-430.
- 김기혜, 이경학, 이상민, 이승연, 이예승, 임경리, 장지은, 조상원, 최은혜, 정성태, 진은정 손미아(2007). 직업 및 교육수준에 따른 사망원인별 비례사망비의 연도별 추이: 1993-2004년 우리나라 사망등록 자료의 분석. 예방의학회지, 40(1), 7-15.
- 김수현, 강현정, 김윤정 (2008).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3), 51-71.
- 김일호, 백도명, 조성일 (2005). 비정규직 근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8(7). 337-334.
- 김창엽(2004). 사회계층과 전반적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보건복지포럼. 92. 18-25.
- 김혜련 (2007). 우리나라에서 흡연율의 사회계층별 불평등과 변화추이. 보건사회연구, 27(2). 25-43.
- 노동부 (2006). 비정규직 현황
- 성상석, 최찬범, 성윤경, 박용욱, 이혜순, 엄완식, 김태환, 전재범, 유대현, 이오영, 배상철 (2004). 한국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대한류마티스학회지, 11(3), 524-262.
- 손미아 (2009). 추락하는 여성노동자 건강권, 이대로 좋은가?. 3.8 세계 여성의 날 토론회,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 서울.
- 신순철, 김문조 (2007). 직업과 고용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 과학, 22, 205-224.
- 정영해 (2004). 농촌 노인의 건강실태-나주시를 중심으로. 사회연구, 7, 149-187.
- 정혜선 (2006). 직장여성과 비직장여성의 건강행위 비교. 직업과 여성건강 연구회 학술대회, 서울.
- 조수진, 장숙랑, 조성일 (2006). 여성의 다중역할에 따른 건강 차이. 예방의학회지, 41(5). 355-363. https://doi.org/10.3961/jpmph.2008.41.5.355
- 통계청 (2009). 성연령별 경제활동인구
- 질병관리본부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원시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 건강면접 및 보건의식 부분.
- 한미아. 류소연, 박종, 강명근, 박종구, 김기순 (2008). 일부 농촌지역 성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 예방의학회지, 41(3). 173-180. https://doi.org/10.3961/jpmph.2008.41.3.173
- Arber, S. (1991). Class, paid employment and family roles: Making sense of structural disadvantage, gender and health status. Soc Sci Med, 54(5). 767-782.
- Breeze, E., Jones, D. A., Wilkinson, P., Fletcher, A. E. (2004). Association for quality of life in old age in Britain socioeconomic position ; baseline data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8(8), 667-673. https://doi.org/10.1136/jech.2003.014035
- Burstron, K., Joannesson, M., Diderichsen, F. (2001). Sweden populat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using the EQ-5D. Qual Life Rea, 10(7), 621-635. https://doi.org/10.1023/A:1013171831202
- Fokkema, T. (2002). Combining a job and children: contrasting the health of married and divorced women in the Netherlands. Soc Sci Med, 54 (5), 741-752 https://doi.org/10.1016/S0277-9536(01)00106-X
- Jakobsson, U., Hallberg, I. R., & Westergren, A. (2004). Overall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st old in pain. Qual life res, 13, 125-36. https://doi.org/10.1023/B:QURE.0000015286.68287.66
- Khlat, M., Sennet, C., Le Pape A. (2000). Women's health in relation with their family and work roles: France in the early 1990s. Soc Sci Med, 50 (2), 1807-1825. https://doi.org/10.1016/S0277-9536(99)00419-0
- Spiker, B., Revicki, D.A. (1996) Taxonomy of quality of life. In: Spiker B, editor. Quality of life and pharmacoeconomics in clinical trials. 2nd ed. Philadelphia: Lippinicott-Raven Publisher, 2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