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Proven with Nocturnal Polysomnography as Correlates of Age and Gender

야간 수면다원 기록으로 확진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특성: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

  • Lee, Ju-Young (Seoul Metropolitan Eunpyeong Hospital) ;
  • Kim, Seog-Ju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Lee, Jung-Ho (Department of Psychiatry,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Do-Un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 and Center for Sleep and Chronob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주영 (서울특별시 은평병원) ;
  • 김석주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 교실) ;
  • 이정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 교실) ;
  • 정도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수면의학센터)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especially in relation to differences due to age and gender. Methods: All subjects were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proven to have OSAS with nocturnal polysomnography. They were interviewed with a structured interview format including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past medical history, medication, and sleep-related history. Simultaneously, they were also given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to answer in order to check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subjective sleepiness. Results: Mean age of the 308 subjects was $49.5{\pm}$13.3 years, with 77.6% of the subjects being males and 22.4% of the subjects being females. The aging effects on the sleep architecture in Korean OSAS corresponded with normal aging, but with the effect of OSAS itself superimposed, the extent of aging effects was more marked than that of normal aging. The severity of Korean patients of OSAS was not correlated with age. When divided into age subgroup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DI and BMI in patients of each subgroup of those in the 4th to 7th decades. The oldest subgroup (>70 years) described their subjective sleep quality as poorer than any other age subgroups, despite of less subjective drowsiness. The severity of OSAS and the change of sleep architecture of male subjects turned out to be severer than those of female ones. The female/male ratio of the subjects tended to increase with aging. Conclusions: The aging effect on the sleep architecture in Korean OSAS seems to be a mixture of the changes by normal aging and sleep disorder per se. The severity of OSAS was not correlated with age, but highly correlated with BMI. The severity of OSAS and the change of sleep architecture of male patients were severer than those of female ones.

목 적: 한국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사회 인구학적, 임상적, 수면 구조, 수면 호흡 변인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야간 수면다원기록법을 통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확진된 30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사회 인구학적 정보, 과거 병력, 약물 복용, 수면과 관련된 과거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였다. 주관적인 수면의 질과 주관적 졸리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와 엡워스 졸림증 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ESS)도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 308명 중에 남자가 239명(77.6%), 여자가 69명(22.4%)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9.5${\pm}$13.3세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을 연령별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연령에 따른 수면 구조의 변화 방향은 대체로 정상노화 과정과 일치하지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영향으로 변화의 폭이 더 컸다. 수면무호흡증의 심각도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변하지는 않았다. 30대에서 60대 사이에서는 체질량지수와 호흡장애지수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70대 이후에서는 주관적인 졸림증은 덜 호소하면서 주관적인 수면의 질 저하는 더 호소하였다. 남성에서 무호흡의 심각도가 여성에 비해 두드러졌고, 수면의 구조적 변화도 남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연령 증가에 따라 여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연령 증가에 따른 수면 구조의 변화는 정상 노화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모두의 영향을 받았다. 수면무호흡증의 심각도는 연령과는 관련성이 없었으며 체질량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성에서 무호흡의 정도와 수면 구조의 변화가 더 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