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irst Telescope in the Korean History I. Translation of Jeong's Report

한국사 최초의 망원경 I. 정두원(鄭斗源)의 "서양국기별장계(西洋國奇別狀啓)"

  •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연구센터)
  • Published : 2009.06.15

Abstract

In 1631 A.D. Jeong Duwon, an ambassador of the Joseon dynasty was sent to the Ming dynasty. There he met $Jo\tilde{a}o$ Rodrigues, a Jesuit missionary, in Dengzhou of Shandong peninsula. The missionary gave the ambassador a number of results of latest European innovations. A detailed description on this event was written in 'Jeong's official report regarding a message from an European country'(西洋國奇別狀啓), which is an important literature work to understand the event. Since the document wa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we make a comprehensive translation to Korean with detailed notes. According to the report, the items that Rodrigues presented include four books written in Chinese that describe European discoveries about the world, a report on the tribute of new cannons manufactured by Portuguese in Macao, a telescope, a flintlock, a Foliot-type mechanical clock, a world atlas drawn by Matteo Ricci, an astronomical planisphere, and a sun-dial. We discuss the meaning of each item in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Jeong's introduction is an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Korean astronomy, because the telescope he brought was the first one to be introduced in Korean history. Even though king Injo and his associat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well aware of the value as military armaments of new technologies such as telescopes, cannons, and flintlocks, they were not able to quickly adopt such technologies to defend against the military threat of Jurchen. We revisit the reason in view of the general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east-Asian countries in the 17th century.

1631년에 명(明)에 사신으로 다녀오던 정두원은 산둥(산동(山東)) 반도의 덩저우(등주(登州))에서 예수회 선교사인 조앙 로드리게스를 만났다. 로드리게스는 정두원에게 많은 다수의 서양 문물을 전해주었다. 정두원의 "서양국기별장계(西洋國奇別狀啓)"는 이 사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료이다. 이 문헌은 고전 한문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어로 역주를 하였고, 그 과정에서 이전 연구자들이 오해한 여러 가지 사실들을 바로 잡았다. 이 문헌에 따르면, 정두원이 받아온 것은, 중국어로 저술된 서양 서적 네 권, 명(明) 조정에 홍이포(紅夷砲)를 바친 경위에 대한 보고서, 망원경, 수발총, 폴리오트식 기계 시계, 마테오 리치가 그린 세계지도, 천문도, 해시계 등이었다. 우리는 이 물품들이 한국 과학기술사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논의한다. 특히 정두원의 서양 문물 전래는 한국 천문학사에서도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가 가져온 망원경이 한국사상 최초의 망원경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의 임금과 관리들은 망원경, 홍이포, 신식 조총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이 군사적으로 유용함을 잘 알고 있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이를 재빨리 수용하여 국방력을 강화하지 못했다. 우리는 당시 동아시아 과학기술사의 일반적인 역사에 비추어 보아 그 까닭을 재고해보려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언 1998, 서양과 조선 (서울: 학고재), pp.42-56
  2. 강재언 1990, 조선의 서학사 (서울: 민음사), pp.49-57
  3. 구만옥 2002,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4. 권혁래 2008, 우리어문연구, 31, 91
  5. 김두종 1969, 국역대동야승 해제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6. 김상혁 2007,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7. 남문현, 손욱 2002, 전통 속의 첨단 과학기술 (서울: 김영사), pp.142-147
  8. 문중양 2001a, 역사와 현실, 39, 204
  9. 문중양 2001b, 대동문화연구, 38, 285
  10. 문중양 2004, 한국과학사학회지, 26, 40
  11. 바우텔, C. 2002, 무기의 역사 (서울: 가람기획), pp. 277-305 [원서 : Boutell, C. 1996, Arms And Armour In Antiquity And The Middle Ages (Cambridge, Mass.: Da Capo Press)]
  12. 박성순 2005, 조선유학과 서양과학의 만남 (서울: 고즈원)
  13. 배현숙 1979, 도서관학논집, 6, 53
  14. 베이커 1997, 조선후기 유교와 천주교의 대립 (서울: 일조각), pp.42-47
  15. 볼크먼 2003, 전쟁과 평화, 그 야합의 역사 (서울: 이마고)
  16. 서종학 1995, 이두의 역사적 연구 (대구: 영남대학교출판부), pp.128-132
  17. 오상학 2001,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8. 이나미 1995,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 이용범 1988, 중세 서양과학의 조선 전래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 이헌창 1999, 한국경제통사 (서울: 法文社)
  21. 임형택 2005, 한국실학연구, 9, 1
  22. 전용훈 2004,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3. 정수일 2001, 씰크로드학 (서울: 창비), p.344
  24. 정성화 1999, 인문과학연구논총, 19, 273
  25. 정성희 2001, 박사학위논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6. 정옥자, 유봉학, 김문식, 배우성, 노대환 1999,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 (서울: 돌베개)
  27. 정은주 2008, 박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
  28. 조태희 1964, 亂中雜錄 간행사 (국립중앙도서관 청구기호21253-7)
  29. 페어뱅크, 라이샤우어, 크레이그 1965, 동양문화사 (서울: 을유문화사), pp.28-30[원서: Fairbank, J. K., Reischauer, E. O., & Craig, A. M. 1965, East Asia: the modern transformation (Boston: Houghton Mifflin)]
  30. 허태구 2002, 한국사론, 47, 203
  31. 홍기문 1957, 리두연구 (평양: 과학원출판사)
  32. 히라카와 스케히로(平川祜弘) 2002, 마테오리치-동서문명교류의 인문학 서사시 (서울: 동아시아), p.647
  33. 前間恭作 1967a, 국회도서관보, 4-9, 64
  34. 前間恭作 1967b, 국회도서관보, 4-10, 91
  35. 山口正之 1933, 史學雜誌, 44-7 [번역본:山口正之 1977, 한국천주교회사논문선집, 2, 61]
  36. 末松保和 1934, 小田先生頌壽紀念朝鮮論集 (京成: 大阪屋號書占), pp.399-416
  37. 橋本敬造 1991, 中國古代科學史論 (京都大學校入文科學硏究所), p.334
  38. 布衣 1979, 澳門掌故 (香港: 廣角鏡出版社), pp.143-144
  39. 黄一農 1996, 中央硏究院歷史言語硏究所集刊 (台北), 67-4, 911
  40. 黄一農 1997, 淸華學報, 26-1, 31
  41. 黄一農 2003, 新史學, 14-4, 157
  42. 黄一農 2004,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集刊, 75-3, 573
  43. 黃啓巨, 鄭(火十韋) 明 1999, 마카오의 역사와 경제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원서: 黃啓巨,鄭(火十韋)明 1993, 澳門經濟四百年]
  44. 湯開建, 吳靑 2003, 澳門硏究, 19, 240
  45. 湯開建, 趙殿紅 2005, 澳門硏究, 26,169
  46. Cooper, M. 1974, Rodrigues the Interpreter: An Early Jesuit in Japan and China (New York: Weather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