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KVN 21m Radio Antenna Optics using Ray-Tracing Method

광선추적방법을 이용한 KVN 21m 전파망원경 광학계의 해석

  • Bae, Jae-Han (Radio Astronomy Division,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
  • Byun, Do-Young (Radio Astronomy Division,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 배재한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연구부) ;
  • 변도영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연구부)
  • Published : 2009.06.15

Abstract

In this work, we calculate drop in antenna gain, aperture phase distribution, and antenna pointing shift of KVN(Korean VLBI Network) 21m shaped Cassegrain antenna due to misalignments of antenna optics using ray-tracing method. The misalignments we considered are axial displacement of feed, axial displacement of sub-reflector, lateral displacement of feed, lateral displacement of sub-reflector, and sub-reflector tilt. Calculations are performed not only when these misalignments exist separately, but also when they exist at the same time. Although ray-tracing method is based on geometric optics which does not consider electromagnetic effects, we expect that this work enables us to align antenna optics which give the maximum gain.

이 연구에서는 KVN(Korean VLBI Network)의 구경 21m 전파망원경의 변형된 카세그레인식 안테나 광학계에 정렬 어긋남이 있을 때 안테나 이득의 감소, 구경면에서의 상 오차, 그리고 빔 틀어짐 정도를 광선추적방법을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고려한 광학계 어긋남의 종류는 피드의 광축방향 편이, 부경의 광축방향 편이, 피드의 광축과 수직방향 편이, 부경의 광측과 수직방향 편이, 그리고 부경의 기울어짐 등 다섯 가지이다. 먼저 이들 광학계 어긋남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경우에 대해서 계산을 하였고, 서로의 어긋남 효과를 상쇄시킬 수 있는 보완관계의 어긋남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계산을 하였다. 광선추적방법을 이용한 계산은 전자기적 효과가 고러되지 않은 순수한 기하학적 계산이지만 이 연구로 효율적인 관측을 위한 KVN 21m 안테나 광학계의 정렬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ntedo, Inc. 2005, Technical Memo, KVN-21M-TM-130
  2. Butler, B. J. 2003, ALMA (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Memo, No. 479
  3. Chung, M., Byun, D., & Khaikin, V. B. 2006, JA&SS, 23, 327 https://doi.org/10.5140/JASS.2006.23.4.327
  4. Ruze, J. 1966, Proc. IEEE, 54, 633 https://doi.org/10.1109/PROC.1966.4784
  5. Sletten, C. J. 1981, Proc. IEEE, 69, 743 https://doi.org/10.1109/PROC.1981.12051
  6. Subrahmanyan, R. 2002, ATNF (Australia Telescope National Facility) Memo, 39.3/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