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로 유발된 주관적 스트레스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Correlation Analysis of Subjective Stress Caused by Traffic Accident with Prognosis

  • 정기훈 (세명대학교 부속제천한방병원 침구과) ;
  • 황희상 (세명대학교 부속충주한방병원 침구과) ;
  • 전재천 (세명대학교 부속충주한방병원 침구과) ;
  • 김민석 (세명대학교 부속제천한방병원 침구과) ;
  • 박재연 (세명대학교 부속충주한방병원 침구과) ;
  • 이태호 (세명대학교 부속충주한방병원 침구과) ;
  • 이은용 (세명대학교 부속충주한방병원 침구과) ;
  • 노정두 (세명대학교 부속제천한방병원 침구과)
  • Jung, Ki-Hoon (Dept. of Acupuncture & Moxibution, Je-Cheon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Hwang, Hee-Sang (Dept. of Acupuncture & Moxibution, Chung-Joo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Jeon, Jae-Cheon (Dept. of Acupuncture & Moxibution, Chung-Joo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Kim, Min-Seok (Dept. of Acupuncture & Moxibution, Je-Cheon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Park, Jae-Yeon (Dept. of Acupuncture & Moxibution, Chung-Joo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Lee, Tae-Ho (Dept. of Acupuncture & Moxibution, Chung-Joo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Lee, Eun-Yong (Dept. of Acupuncture & Moxibution, Chung-Joo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Roh, Jeong-Du (Dept. of Acupuncture & Moxibution, Je-Cheon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투고 : 2009.11.11
  • 심사 : 2009.12.03
  • 발행 : 2009.12.20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ubjective stress caused by traffic accident with patient's prognosis. Methods : We investigated 53 cases of in-patient with traffic accident. The patients answered that questionnaire about subjective pain and stress on hospitalization day and leaving hospital day. And we calculated statistically signification with this data. Results 1. IES-R-K score of femal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group's.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ES-R-K score and admission duration. 3. After hospitalization treatmen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VAS and IES-R-K score. Conclusions :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stress and prognosis.

키워드

참고문헌

  1. 도로교통공단. 교통통계정보. 2009. URL : http://www.rota.or.kr/Work/Code/RotaSafety/RotaSafety15_01_list.jsp.
  2. 이은지, 오민석, 송태원, 이철완. 교통사고 후유증의 한방요법.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7 ; 7(1) : 218-27.
  3. 張介賓. 景岳全書. 서울 : 裕昌德書店. 1961 : 896-97.
  4. 巢元方. 諸病源候論. 台北 : 國立醫學硏究所. 1977 : 86-90.
  5. 王淸任. 醫林改錯.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76 : 24-37
  6. 李梴. 醫學入門. 北京 : 東方書店. 1959 :493.
  7. 王燾. 外臺秘要. 北京 : 人民衛生出版社. 1996 : 225.
  8. 정정수, 김영균. 痰飮이 神志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적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 ; 17(1) : 37-43.
  9. 이지은, 정효근, 류충열, 위준, 류미선, 김자영. 교통사고 환자 12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6) ; 135-43.
  10. 신용승, 박종배, 김종훈, 최정림, 김덕호. 교통사고 후유증 관리에 대한 한의학적 임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6) : 1-11.
  11. 김봉찬, 한을주, 이영준, 이명종. 한방병원에 입원한 교통사고 입원환자에 대한 통계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2 ; 12(1) : 31-9.
  12. 조원영, 이경윤, 박쾌환. 교통사고 환자의 요통후유증에 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6) : 36-44.
  13. 신정철, 박은주, 나건호, 이동현, 류충열, 윤여충, 채우석, 조명래. 요추부염좌로 진단된 교통사고환자 27례와 비교통사고환자 33례에 대한 임상적 비교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3) : 13-27.
  14. 박서영, 김재수, 고경모, 최성훈, 이윤규, 이윤경, 이경민, 이봉효, 임성철, 우창훈, 안희덕, 정태영, 서정철.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의 추나요법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6) : 37-44.
  15. 고경모, 최성훈, 김재수, 박서영, 이윤규, 이윤경, 이경민, 이봉효, 임성철, 최홍식, 이은경, 정태영, 서정철. 교통사고 후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 후유증 환자에 대한 고찰 - SCL-90-R 중심으로-.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6) : 63-8.
  16.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 : 군자출판사. 2005: 356.
  17. 왕진만, 김동준. Visual analog scale을 이용한 동통평가의 유용성. 대한척추외과학회지. 1995 ; 2(2) : 177-84.
  18.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2005 ; 44 : 303-10.
  19. 지정구. 교통사고 다발지점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20. 보험개발원. 자동차보험 의료비통계를 이용한 자동차사고 상해에 관한 분석. 서울 : 보험개발원. 2004 : 84.
  21. 교통사고 통계분석. 교통사고 종합분석센터. 서울 :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7 : 73.
  22. Horowitz M, Wilner,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1979 ; 41 : 209-18. https://doi.org/10.1097/00006842-197905000-00004
  23. Weiss DS, Marmar CR. The Impact of Event Scale - Revised. In: Wilson J,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 The Gulford Press. 1996. 399-411.
  24. 이선미, 은헌정. 한국판 사건충격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9 ; 38 : 501-11.
  25.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2005 ; 44 : 303-10.
  26. Lim HK, Woo JM, Kim TS, Kim TH, Choi KS, Chung SK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mpr Psychiatry 2009. 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