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Nursing Proc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Home Health Care

가정간호를 위한 간호과정 정보시스템 개발

  • Cho, Hyun (Department of Health Care Management, Institute of Health Science and Informatics, Inje University) ;
  • Kang, In-Soon (School of Nurs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조현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보건과학정보연구소) ;
  • 강인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Published : 2009.05.31

Abstract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reduce the gaps between medical institutes and between medical personnels and help to improve medical service quality, by classifying diagnoses and related interven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andard nursing intervention and by computerizing protocols. We considered two processes: one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home nursing standard intervention, and the other is the process of computerizing its related protocols. For the former, research covered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practices, development of client assessment protocol, of patients diagnosis protocols, and of patients intervention protocol. For the latter, strategies for home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s should be set up and it constituted four research contents of analysis, design,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the systems. We also trained and educated home nurses who work at home health service center, by making them use the manual of home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s at a certain city of P. In this study, therefore, we developed elements of standard home health care mediation so that they could be included in the forms of home health information note, home health progress note, and home health progress summary, home health discharge summary. Because standard home health care intervention has been developed, it became easier to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home heath service center offices, can prevent from missing or redundant information, and contribute to standardization of hospital terminologies when EMR and HMR are developed.

본 연구는 가정간호사의 표준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이를 근거로 각각의 진단과 연결된 중재를 분류하고 프로토콜을 전산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료기관간, 또한 의료인간의 격차를 없애고 서비스의 질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가정간호 표준중재 개발과정과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나누었는데, 가정간호 표준중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가정간호사의 직무분석, 대상자 사정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진단 프로토콜 개발, 대상자 중재 프로토콜 개발의 4가지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가정간호 표준 중재 프로토콜을 전산화하는 과정으로, 크게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을 위한 전략수립과 가정간호 정보시스템의 분석, 설계, 운영 및 평가 등의 4개 연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P시에서 가정간호사업 실시 기관에 근무하는 가정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정간호 정보시스템 매뉴얼을 사용하여 직접 시범, 교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 가정간호중재에 속하는 구성요소를 가정간호정보조사지, 가정간호경과기록지, 가정간호경과요약서, 가정간호종결 요약서 양식에 포함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표준 가정간호중재가 개발됨으로써 가정간호사업부서 간의 정보교환이 용이하고 기록의 누락 및 중복을 막을 수 있으며 EMR, HMR 개발시 병원용어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진호, 이혜영, 김진상. 가정방문을 위한 물리치료사와 가정간호사의 팀웍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2(4), 79-86, 2000.
  2. 박현애, 김정은, 조인숙, 최영희, 이향련, 김혜숙, 박현경.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간호중재 분류채계)의 한글 명명화에 대한 타당성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1(1), 23-38, 1999.
  3. 이진경, 박현애, 일개 종합병원중심 가정간호 간호진단 분류를 위한 NANDA와 HHCC의 적용 비교. 성인간호학회지, 12(4), 507-516, 2000.
  4. 황보수자. 조기퇴원 제왕절개 산욕부를 위한 가정간호표준서 개발, 간호행정학회지, 6(1), 135-146, 2000.
  5. Dombi, W.A. Home Care & Hospice Financial Managers Association: It Works for You With the transformation in health care in the United States that raised the importance of home care and hospice in both acute and chronic care settings, the financial management o the sectors has grown in importance and complexity. HHFMA is recognition that financial managers are essential to the future success of home care and hospice. CARING-WASHINGTON DC-, 27(9), 6-7, 2008.
  6. 문성미, 김선희. NIC에 근건한 척수손상환자의 가정간호 중재 프로토콜 개발. 한국가정간호학회지, 8(1), 25-37, 2001.
  7. 박성애. 간호중재분류의 동향과 전망. 한국가정간호학회지, 3, 78-85, 1996.
  8. 용진선. 병원중심 가정호스피스 대상자의 주호소, 의뢰사유 및 간호진단 분석. 호스피스교육연구소지, 9, 8-17, 2005.
  9. Cabin, W. D. The Phantoms of Home Care: Home Care Nurses' Care Decisions for Medicare Home Health Alzheimer's Disease Patients. HOME HEALTH CARE MANAGEMENT AND PRACTICE. 19(3), 174-183, 2007. https://doi.org/10.1177/1084822306296920
  10. McMackin, S. home care today Setting the Standard for Private Duty Home Care: How the National Private Duty Association Works to Improve Home Care for Providers and Their Patients. Home healthcare nurse, 22(12), 851-853, 2004.
  11. 박정호, 박성애, 윤순녕, 강성례. 컴퓨터 통신망과 PDA(휴대용개인정보단말기)를 이용한 가정간호정보시스템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4(2), 290-296, 2004.
  12. 강창현, 노인지역사회보호를 위한 방문(가정)간호서비스 네트워크 탐색. 韓國政策學會報, 10(2), 215-242, 2001.
  13. 장인순, 황나미. 병원중심 가정간호 뇌혈관질환자의 중증도별 서비스 특성 및 비용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13(4), 619-630, 2001.
  14. 서문자. 간호중재분류체계에 대한 최신경향,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간호학논문집, 12(1), 1-14, 1998.
  15. 염영희, 이진순, 김희경, 장혜경, 오원옥, 차보경, 박창승, 천숙희, 이정애. 보건의료정보 자료 세트의 비교 및 간호정보 표준화에 대한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5(1), 72-85, 1999.
  16. 박성애, 박정호, 이혜자, 박성희, 정면숙, 주미경. 간호결과지표를 이용한 간호진단 및 중개관리 시스템. 대한의료정보학회지, 7(1), 35-43, 2001.
  17. 박현애, 조인숙, 황지인, 최영희, 이향련, 박현경. Home Health Care Classification(가정간호 분류체계)의 한글 명명화에 대한 타당성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1(2), 252-266, 1999.
  18. Coler, M. S. de Oliveira Ferreira Filha, M. Ozalting, G. Lutzen, K. Gorman, D. Rigol, A. Oud, N. Violence: A NANDA Nursing Diagnosis Targeted as a Universal Problem: Ome Proposal foe Preventive Intervention. CLASSIFICATION OF NURSING DIAGNOSES, 13, 377-389, 1998.
  19. Van De Castle, B. Comparisons of NANDA/NIC/NOC Linkages Between Nursing Experts and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14(4), 4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