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casting Future Market Share between Online-and Offline-Shopping Behavior of Korean Consumers with the Application of Double-Cohort and Multinomial Logit Models

생잔효과와 다중로짓모형으로 분석한 구매형태별 시장점유율 예측

  • Lee, Seong-Woo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un, Seong-Do (Program in Regional Inform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성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 윤성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As a number of people using the internet for their shopping steadily rises,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for retailers to understand why consumers decide to buy products via online or offlin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st a model that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respond future online and offline channels for their purchasing. Rather than merely adopting statistical models like most other studies in this field, the present study develops a model that combines double-cohort method with multinomial logit model. It is desirable if one can adopt an overall encompassing criterion in the study of consumer behaviors form diverse sales channels. This study uses the concept of cohort or aging to enable this comparison. It enables us to analyze how consumers respond to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s people aged by measuring their shopping behavior for an online and offline retailers and their subsequent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som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with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necessary fields of future studies desirable.

정보통신기기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변화는 소비자의 구매유형을 다양화 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유형에 따른 시장점유율의 변화는 관련 기업 뿐 아니라 정책 관계자들에 있어서도 매우 주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이중생잔모형을 고려한 다중로짓모형 분석과 구매형태별 시장점유율을 예측하였다. 시장규모 및 점유율에 대한 예측이 다양한 관련 주체의 경제적 효율성 및 형평성의 실현에 있어 중요한 사안임을 감안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 및 연구의의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소비자의 구매유형의 선택 형태는 생잔효과(Cohort Effect)를 고려하여야 한다. 연령대별 선호 구매형태 및 충성도가 다르며 또한 생잔효과를 감안한 시장점유율은 매우 유동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기존의 온라인의 구매형태의 감소는 빠른 속도로 온라인 구매형태로 이전할 것이며, 동일 온라인 구매형태에 있어서도 온라인, 인터넷, TV 홈쇼핑 및 기타 간의 시장 분할도 2013년 경 안정된 비율을 유지할 것이다. 셋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연령별 생잔효과의 분석에서 현재의 연령대가 차후 연령으로 진행하더라도 구매방법을 획기적으로 바꾸기보다는 현재의 소비행태를 비슷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나이를 먹는 것(Aging)에도 일종의 사슬효과(Chain Effect)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구매형태를 고려한 시장점유율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적용하였다는 측면과 생잔효과를 고려한 다양한 관련 주체들의 활동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