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On-sit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nd Suggestions for the Downtown Area of Gyeongju

경주도심 노후주거지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04.25

Abstract

With old housing being renovated in both the Gatdui and Daean areas, of the Gyeongju downtown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various renewal approaches in a city that is rich in both history and culture. The study included a physical survey of the areas under construction as well as a questionnaire given to residents to analys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and requirements for housing and their preferring housing types. The study also analysed renewal patterns among the residents were analysed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particular renovations had been performed.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governmental authorities and private parties need to be involved and work together if such renewals are to be successful.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regular conflicts between those in favor of development and those in favor of preserving th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city. At times the city identity has been neglected by residen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both development conditions and the residents' economic situations into consideration when making decisions about renewal and to consider a wide range of methods for rearranging housing patterns, with the goal of transforming housing renovation into a broader program of social rearrangeme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ocial patterns in the city.

Keywords

References

  1. 경주시(2004), 2020 경주도시기본계획
  2. 경주시(2004), 시정백서
  3. 경주시청, 2006-2020 경주시 장기종합발전계획
  4. 김규호 외(1997), 경주문화의 이해, 중문
  5. 김미선(2005), 역사도심에서의 지속가능한 도시건축 시스템 연구, 동신대 석사학위눈문
  6. 김영하(2005), 주거단지계획과 도시경관, 기문당
  7. 김영환·백기영·오덕성(2003), 영국 쉐필드시 도심재생계획의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9), 69-78
  8. 김용준(2004), 경주시 역사문화도시의 주거환경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인호(2008), 현지개량방식주거환경개선사업의 사업효과에 관한 연구, 동신대석사학위논문
  10. 김홍기(2004), 역사적 도심재생의 계획특성에 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0(5), 161-170
  11. 김희승(2004), 역사맥락적 관점에서 고찰한 도심 집합주거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형철(2005), 독일과 영국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서수정, 노후주거지 현황과 과제, 2007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주거학회, 20-61
  14. 손세관·하재명·양우현(1997), 도심 전통주거지역의 특성 보존을 위한 개발방향과 지침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6), 59-68
  15. 손세관·강경호(2002), 전통한옥주거지역의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환경과학연구, 13(2), 59-65
  16. 신화경(1998), 이상적 주택유형에 대한 심적 지도를 통해본 주택 선호에 관한 연구, 가정문화연구, 12, 1-11
  17. 양성욱(2007), 아름다운 근대역사문화도시의 풍경 보전, 건축, 51(5), 46-50
  18. 양우현(1995), 우리나라 도시 전통주거지역의 보존과 재생의 방향, 중앙대학교 환경과학연구, 6, 75-95
  19. 원세용(2003), 역사적 도심지구내 주거지의 보전과 개발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왕기(2005), 농촌 문화환경의 보전과 경관가치의 재생 방안, 건축, 49(6), 43-48
  21. 이종석(2008), 경주지역 주거건축의 건축계획적 연구, 계명대학교박사학위논문
  22. 이종현·최정환(2003), 인천구도심지역의 재생방안, 인천발전연구원
  23. 이천복(2006), 도심재생을 위한 역사문화 환경의 새로운 장소적 보존기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현수 외(1999), 현대주택 평면의 유형화와 평면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0(2), 195-202
  25. 임만택(1997), 역사·문화환경의 보존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2(3), 209-228
  26. 임양빈·오덕성(2003), 해외도심재생의 계획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11), 147-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