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atterns shown in the process of solving a linear equation - Centering around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

일차방정식의 풀이 과정에 나타난 유형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the process of solving a linear equation, some questions had equal sign('=') relation properly, while other questions did not have equal sign('=') relation properly. Since whether students could express equal sign('=') relation properly or not is determined by questions, the direction for teaching should be instituted, and instruction and teaching should be condu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after conducing tests on may items. Most of students who got the answer for items without the method of solving a linear equation solved the items using binomial. For questions asking to solve using the characteristic of equality, most of students solved the questions using binomial instead of using the characteristic of equality. Therefore, instruction and learning to solve equations using both the characteristic of equality and binomial have to be achieved.

일차방정식의 해결 과정에서 어떤 문항은 등호('=')관계를 올바르게 표현하고, 다른 문항은 등호('=')관계를 올바르게 표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등호('=') 관계를 올바르게 표현할 수 있는지, 표현할 수 없는지는 문항에 따라 그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여러 문항에 대한 테스트를 한 후에 비교 분석하여 학습지도 방향을 설정하고, 교수 학습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차방정식의 풀이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항에서 방정식의 해를 구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항을 사용하여 해결 하였다. 등식의 성질을 사용하여 해결하라는 문항에서도 등식의 성질을 사용하여 해결하기 보다는 이항을 사용하여 해결한 학생들이 대부분 이었다. 등식의 성질과 이항을 모두 사용하여 방정식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