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motion Acknowledgement and Preference on Regional Foods in Dan Yang County

단양군 향토음식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통한 활성화 방안

  • Published : 2009.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s for analysis acknowledgement, preference with 19 local foods and 3 Koguryo foods in Dan Yang county. Th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each 150 residence and tourist who visited in Dan Yang county, collected 261, then used for data analysis 232.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4 items among 22 regional foods' marsh snail broth', 'mixed rice with acorn-starch paste', 'mixed rice with various herb', and 'baked deodeok' are ranked highly in acknowledgement and preference. Second, 4 variables which are sex, age, residence or tourists, and income had significant in acknowledgement. Therefore, making Koguryo food town near movie setting place, introduction geographically mark system, and put Dan Yang mark into merchandise would be increased acknowledgement, and also promoted local economic. Third, 3 variables except income had significant in preference. Therefore, functional effect of each food and taste for young generation would be reinforced in preference.

본 연구는 단양군이 개발한 3개의 고구려 음식과 19개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향토음식 활성화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거주민과 관광객에게 각 150부씩 배포하고 261부를 회수하였고, 232부를 이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2개의 향토음식에서 '올갱이 해장국', '도토리 묵밥', '소백산 산채 비빔밥', '더덕마늘구이'가 인지도와 선호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지도 분석에서 남성은 '올갱이 해장국'과 '남한강민물매운탕', 거주민들은 '곤드레 마늘솥밥', '올갱이 해장국', '남한강 민물매운탕과 회', '소백산 산채비빔밥'을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집적화 특징을 갖고 있는 향토음식은 단지가 형성되어 많은 관광객을 유인하고 있는 반면에 최근에 개발된 고구려 음식은 영화셋트장 주변에 음식점 단지를 형성하고 지리적 표시제도 도입 또는 상품명에 단양을 넣어 인지도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선호도 분석에서 남성은 '마늘육회', 거주민들은 '곤드레 마늘솥밥', '올갱이 해장국', '소백산 산채비빔밥', 50대는 '곤드레 마늘솥밥', '남한강 민물매운탕', '소백산 산채비빔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토음식을 선호하는 노년층과 달리 젊은층을 어필할 수 있는 음식 맛과 각 재료의 대표적인 음식효능을 이용하여 선호도를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Y. Hu and J. Ritchie, "Measuring destination attractiveness: A contextual approach," J. of Travel Research, Vol.32, No.2, pp.25-35, 1993. https://doi.org/10.1177/004728759303200204
  2. O. Jenkins, "Understanding and measuring tourist destination images," Int'l J. of Travel Research, Vol.1, No.1, pp.1-15, 1999.
  3. P. Boniface, Tasting tourism: Traveling for food & drink. Burlington:Ashgate Publishing, 2003.
  4. L. M. Long, Culinary tourism. Kentucky: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4.
  5. L. M. Long, "Food pilgrimages: Seeking the sacred and the authentic in food," Appetite, Vol.47, No.3, p.393, 2006.
  6. 이정철, 남택영,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천안지역을 중심으로", 관광정보연구, 24호, pp.1-22, 2006(11).
  7. 진성호, 한국향토음식, 문화관광부, 2003.
  8. (주)외식산업연구소, 단양군 웰빙(향토)음식개발 연구, 2008(1).
  9. 한국관광공사, 향토음식 관광상품화 방안, 1993.
  10. 한억, 전통음식의 현대적 인식과 재창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11. 한억, "한국음식문화 세미나: 향토음식의 개발과 보급", 식품과학과 산업. Vol.27, No.2, pp.15-37, 1994.
  12. 정경숙, "관광자원으로서의 향토음식", 숭의논총, 1995(7).
  13. 농림부, 식품산업육성종합대책(안) 및 향후 추진 계획, 농산물 유통국 식품산업과, 2005.
  14. 농림부, 우리나라 지리적 표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식품산업과, 2006.
  15. 이동필, 최경은, 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2007(11).
  16. H. Trobe, "Local Food: future directions, Friends of the Earth," Slow food International. 2002,
  17. 김영주, 정선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개발방안,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8. 박성수, 향토음식 인지도 강화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남 하동군을 중심으로', 경주대석사학위논문, 2004.
  19. 손영진, 경기지방의 향토음식의 관광상품화를 위한 소비자 인지도 연구, 경기대 석사학위논문, 2005.
  20. 김지현, 진양호,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향토음식 발굴과 관광상품화 연구: 광주전남지역 명가음식을 대상으로", 외식경영연구, 11권, 3호, pp.25-47, 2008.
  21. 한영애, 밀양향토음식 인지도 분석 및 개발방안,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2. 박재완, 이덕원, "강원지역 향토음식 메뉴개발 의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2권, 1호, pp.179-190, 2008.
  23. 박용식, 향토음식 인지도와 선호도 조사연구: 천안지역을 중심으로, 남서울디지탈정보대학원 석사논문, 2006.
  24. 박중곤, 향토음식산업발전방안 연구: 향토음식 수요자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2007.

Cited by

  1. A Study on the Damyang Area Restaurants in Bamboo food village vol.28, pp.4, 2013, https://doi.org/10.7318/KJFC/2013.28.4.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