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소비자의 돼지고기 선호도와 소비행태 분석

Analysis of the Domestic Consumer's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s on Pork

  • 김계웅 (공주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 김석은 (공주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Kim, Gye-Woong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k-Eun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8.10.22
  • 심사 : 2009.02.05
  • 발행 : 2009.02.01

초록

돼지고기의 효율적 생산, 유통개선 및 유통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돼지고기 소비자 504명을 대상으로 돼지고기의 선호도, 구입처, 구입량, 등급제 인지도, 브랜드돈육 품질평가 등의 소비행태를 분석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62.55% (314 명)가 돼지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수준별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는데, 학력이 높을수록 돼지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산 돼지고기는 소비자 전체 응답자 중 61.16% (285명)가 "싫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수준별 및 생활지별로는 고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01), 학력이 낮고 농촌 생활자일수록 수입산 돼지고기를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선호도에서 "삼겹살"(58.57%)을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별 및 생활지별간에는 각각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p<0.001)가 인정되었는데, 초 중졸 학력자는 삼겹살(56.14%)과 목살(29.82%)을 선호하는 반면에 고졸학력자는 삼겹살(56.79%)과 안심 등심(22.22%)을 더욱 선호하였다. "대형 유통점"에서 돼지고기를 가장 많이 구매하고 있었다(44.64%). 교육수준별(p<0.001) 및 생활지별(p<0.05) 간에는 각각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학력이 높을수록 대형유통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나, 농촌생활자일수록 정육점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돼지고기의 1회 구입량은 "600g" 포장단위로 가장 많이 구입하며(54.76%), 생활지별 간에는 고도로 통계적 유의차(p<0.001)가 인정되었다. 대도시 생활자는 600g (43.59%) 과 400g (31.62%)을 1회 구입하나, 농촌생활자는 600g(62.60%)과 1,000g (24.39%)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처를 선택하는 구매요인에서 소비자는 품질의 신뢰도 (42.71%), 신선도 유지(25.35%) 등 돼지고기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교육수준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는데, 학력이 높을수록 돼지고기 구매처 선택시 품질의 신뢰도를 더욱 우선시 하였다. 돼지고기등급제의 인지도 전체평균은 "2.97점"으로 보통이하로 평가되었다. 교육수준별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여 학력이 낮은 그룹에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브랜드 돼지고기의 품질평가에서 소비자 전체평균은 "3.50점"으로 보통 수준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성별 학력별 및 거주지별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이 서로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e behavior of pork including perception of brand-pork in Korea. A total of 504 respondents were surveyed and collected from December, 2007 to February, 2008. Among total respondents, 62.55% (n=314) responded that they liked the pork and respondents who were higher education level showed higher preference (p<0.05). Majority of consumers (61.16%) did not like imported pork. In addition, one who had lower education level and living in rural area disliked more the imported pork. Most consumers preferred to the belly (58.57%) 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ople who were higher education level preferred a discount mart but who were living in rural area preferred a butcher's shop. Among the purchasing area, a big discount mart was the most preferred (44.64%) and this was also different among the education level (p<0.001) and living areas (p<0.05). The consumers preferred to purchasing a 600 g pack for a single purchase. Among total respondents, 42.71% of consumers responded that their priority was reliability of meat quality on choosing the place for purchasing the pork,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highly found in living area groups (p<0.001). The perception of carcass grading system was common scores with the average of 2.79, and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ducation level groups (p<0.001). The average of 3.50 among 5 points for branded pork were evaluated by a total of consumers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all three groups.

키워드

참고문헌

  1. Bryhni, E. A., Byrne, D. V., Rodbotten, M. C., Claudi-Magnussen, Agerhem, H. and Johansson, M. 2002. Consumer perceptions of pork in Denmark, Norway and Swede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3:257-266. https://doi.org/10.1016/S0950-3293(02)00021-6
  2. Cho, S. H., Park, B. Y., Byun, J. S., Kim, J. H., Ahn, J. N. and Yun, S. K. 2004. Visual evaluation factors of pork loin and Korean consumer’s preference choice. Kor. J. Anim. Sci. & Technol. 46:415-426. https://doi.org/10.5187/JAST.2004.46.3.415
  3. Choi, S. C. and Youn, G. Y. 2002. Quantification analysis on the buying behavior of functional fresh meat. Kor. J. Agri. Manage. & Policy. 29: 659-674.
  4. Grunert, K. G., Bredahl, L. and Brunso, K. 2004. Consumer perception of meat quality and implications for product development in the meat sector-a review. Meat Sci. 66(2):259-272. https://doi.org/10.1016/S0309-1740(03)00130-X
  5. Ngapo, T. M., Dransfied, E., Martin, J. F., Magnusson, M., Bredahl, L. and Nute, G. R. 2003. Consumer perceptions: pork and pig production. Insights from France, England, Sweden and Denmark. Meat Sci. 66:125-134.
  6. Turrell, G., Hewitt, B., Patterson, C. and Oldenburg, B. 2003. Measuring socio-economic position in dietary research: is choice of socio-economic indicator important?. Pubilc Health Nutrition. 6:191-200.
  7. Verbeke, W. and Ward, R. W. A. 2001. Fresh meat almost ideal demand system incorporating negative TV press and advertising impact. Agricultural Economics. 25: 359-368. https://doi.org/10.1111/j.1574-0862.2001.tb00215.x
  8. Verbeke, W. and Vackier, I. 2004. Profile and effects of consumer involvement in fresh meat. Meat Sci. 67:159-168. https://doi.org/10.1016/j.meatsci.2003.09.017
  9. 곽영태, 고복남. 2006. 돼지고기 비선호 부위의 소비유형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3(2):444-455.
  10. 김병무, 조성균, 송경환, 김용규. 2001. 돈육가공과 유통의 차별화 전략. 한국식품유통연구. 18(1):131-153.
  11. 김석은. 2006. 축산물의 선호도와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3):501-512.
  12. 농림수산식품부. 2008. 농림수산통계자료.
  13. 문장문. 2005. 돼지고기 소비에 대한 소비자 의향 조사.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종수, 조광호. 2002. 돼지고기 소비형태와 소비촉진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조사. 농업경영.정책연구. 29(2):283-297.
  15. 유영철. 1998. 돼지고기 브랜드가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문희, 김태완, 한일문, 강양수, 진상근, 김일석. 2005. 브랜드 돼지고기에 대한 경남 소비자 구매 특성과 인지도.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5(3):271-276.
  17. 이문희, 김태완, 허순구, 한일문, 진상근, 김일석. 2006. 소득과 연령에 따른 브랜드 돈육에 대한 경남지역 소비자의 구매 행동.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6(3):380-385.
  18. 이상영. 2001. 브랜드육 소비촉진과 홍보전략. 농업경영.정책연구. 28(1):35-61.
  19. 조수현, 박범영, 진구복, 유영문, 채현석, 안종남, 이종문, 윤상기. 2003. 햄․소시지제품에 대한 소비자 의식 및 구매실태.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5(2):273-282.
  20. 조수현, 박범영, 변종석, 김진형, 안종남, 윤상기. 2004. 돼지고기 등심의 육안적 평가조건과 한국소비자들의 성향분석. 동물자원과학회지. 46(3):415-426.
  21. 차주희. 2007. 우육과 돈육의 소비성향에 대한 조사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피인용 문헌

  1.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and Temperature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Hams: Ocoo, Sous-Vide, steaming, and boiling vol.29, pp.3, 2013, https://doi.org/10.9724/kfcs.2013.29.3.309
  2. Breed Effects of Terminal Sires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Commercial Pig Industry vol.33, pp.1, 2013, https://doi.org/10.5851/kosfa.2013.33.1.125
  3. Association of FABP3 Genotyp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Pigs vol.55, pp.6, 2013, https://doi.org/10.5187/JAST.2013.55.6.551
  4. Consumption Behaviors and Satisfaction Levels of Consumer towards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and Animal Products vol.29, pp.1, 2014, https://doi.org/10.7318/KJFC/2014.29.1.001
  5.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for Branded and Imported Pork vol.29, pp.4, 2014, https://doi.org/10.7318/KJFC/2014.29.4.342
  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 longissimus dorsi of Korean native pigs vol.60, pp.1, 2018, https://doi.org/10.1186/s40781-018-0163-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