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Contour Extraction Method base on Gestalt Theory

형태 이론에 기반한 이미지 윤곽선 추출 방법

  • Ha, Chu-Ja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Honam University) ;
  • Kim, Cheol-Won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Honam University)
  • 하추자 (호남대학교 전기공학과) ;
  • 김철원 (호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08.12.05
  • Accepted : 2009.04.30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paper propose a new method using Gestalt theory to extract image contour. The proposed method use Gestalt theory based on proximity, similarity and continuation for grouping objects from image segmentation. It use downward feedback and perception to materialize one visual level in image from heterogeneity visual levels in image. The experimental result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better performance than other methods.

본 논문은 형태학 이론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분할된 이미지를 형태학 기반의 근접성, 유사성, 연속성을 사용하여 객체들로 그룹화 한다. 즉, 이미지의 시각 계층에서 지각적 방법과 하향식 피드백을 이용하여 이질적인 시각적 형태들을 하나의 시각적 형태로 구체화 시킨다. 실험 결과 다른 방법에 비하여 좋은 성능을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D. H. Ballard & Brown C. M. 1982 "Computer Vision".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2. S. Grossberg & Mingolla E, (1985) "Neural Dynamics of Form Perception: Boundary Completion, Illusory Figures, and Neon Color Spreading" Psychological Review 92 173-211.
  3. T. Gevers and W. M. Gmeulders, "Color constant ratio gradients for image segementation and similarity of texture objects", Proceedings of the 2001 IEEE computer Society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Vol.1, pp.18-25, 2001.
  4. S. Grossberg Neural FA?DE: Visual representations of static and moving Form-And-Color-And-Depth, Mind and Language 5 (Special Issue on Understanding Vision) 411-456. 1990.
  5. 류동성, 박규태, 이정원, 박수현, 조환규, "동영상 이미지 기반의 흑백 만화 제작 시스템의 구현",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대회논문집(B), 제34권 제2호, pp.184-189, 2007.10.
  6. 류동성, 조환규, "HSV 색상 모델과 영역 확장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프레임 이미지의 흑백 만화 카투닝 알고리즘",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5권 제1권, pp.271-272, 2008.
  7. 탁윤식, 황인준, "윤곽선 특성과 동적 시간 정합을 이용한 식물 잎 이미지 검색 기법", 한국정보처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3-5, 2007. 5.
  8. 조현희, 박지숙, "손상된 얼굴 영역의 복원에 따른 얼굴 인식률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데이터베이스 논문집, 제22권 제1호, pp.35-45, 2006.4.
  9. 이영주, 이종실, 이상민, 김인영, 이응혁, 홍승홍, "영상처리에 기반한 신체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the proceeding of HIC 2004, pp.99-104, 2004. 2.
  10. 이형일, 김경환, "동적 모델을 이용한 얼굴 영상에서의 관심 영역 추출", 한국정보과학학회 가을 학술발표 논문집, 제28권 제2호, pp.343-345, 2001. 10.
  11. Y.-C Chang and J.F. Reid. "RGB calibration for analysis in machine vis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5(10):1414-1422, 1996
  12. M. Wertheimer. Untersuchungen Zur lehre der gestalt, II. Psychologische Forschung, 4:301-350, 1923 https://doi.org/10.1007/BF00410640
  13. A. Desolneux, L. Moisan, and J.-M. Morel. "A grouping principle and four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y and Machine Intelligence. 25(4):508-513, 2003. https://doi.org/10.1109/TPAMI.2003.1190576
  14. G. Kanizsa. Grammatica del Vedere/La Grammair du Voir, II Mulino,, Bologna/Editions Diderot. arts et Sciences, 1980/1997.
  15. S. Grossberg, & Mingolla E, (1985) "Neural Dynamics of form Perception: Boundary Completion, llIusory Figures, and Neon Color Spreading" Psychological Review 92 173-211. https://doi.org/10.1037/0033-295X.92.2.173
  16. L. Fuhui , Z. Hongjian, and D. D. Feng "Fundamentals of Contents-Based Image Retrie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