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frey 등으로 발생한 독성 간손상 환자의 한방치료 1례

A Case of Acute Liver Injury Caused by Comfrey and so on with Oriental Medicine

  • 박봉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장면역학교실) ;
  • 정태영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장면역학교실) ;
  • 조정효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장면역학교실) ;
  • 손창규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장면역학교실)
  • Park, Bong-Ky (Dept. of Liver-Immunity in Oriental Medicine College, Dae-jeon University) ;
  • Jung, Tae-Young (Dept. of Liver-Immunity in Oriental Medicine College, Dae-jeon University) ;
  • Cho, Jung-Hyo (Dept. of Liver-Immunity in Oriental Medicine College, Dae-jeon University) ;
  • Son, Chang-Gue (Dept. of Liver-Immunity in Oriental Medicine College, Dae-jeon University)
  • 발행 : 2009.03.31

초록

Currently, drug-induced liver injury (DILl) has been reported to be common cause of acute hepatitis, and oriental medicine and folk remedies are no exception. However, because many studies about DILl have been reported by western medical society. they has taken the initiative of DILl not only for western drugs but also herbs. So, academia of oriental medicine should make an effort to progress herb-related DILl studies. We describe a patient of acute liver injury which had been caused by comfrey, albizzia julibrissin,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d ginseng. We hope that this report helps for studying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erb-derived DILl. and for establishing a standard of oriental therapy to DILL.

키워드

참고문헌

  1. 유태우,김병익,김진봉,김동준,김재우,백순구 등. 독성 간손상 관련 한국인의 약물복용 실태와 건강비용 조사; 독성 간손상의 진단 및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다기관 공동연구. 대한간학회지. 2007;13(1):34-43.
  2. 박해모,장인수,이선동. 국내에 보고된 한약 및 민간요법, 건강식품 관련 약인성 간손상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05;26(2):152-6
  3. 김동준,안병민,최성규,손주현,서정일,박상훈 등. 독성 간손상에 관한 다기관 예비연구. 대한간학회지. 2004;10(1);80-6.
  4. 식품의약품안정청 홈페이지 Available for :http;//www.kfda.go.kr.
  5. 서영호,조성범,주영은,김현수,최성규,유종선 등. 한약 및 건강식품에 의한 간손상 환자의 임상적 분석. 7차 대한간학회 춘계학술대회 초록집.2001;7(2S):95.
  6. 김진배,손주현,이항락,김종표,한동수,함준수 등. 급성 독성 간손상의 임상적 양상. 대한간학회지. 2004;10(2):125-34.
  7. 천우정,윤병구,김남일,이구,양창헌,이창우 등. 경주지역에서 식물제제에 의한 급성 간손상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내과학회지. 2002;63(2):141-50.
  8. 백종태,김명숙,강상범,이숙경,장영의,이강문 외13명. 지난 5년간 대전지역의 성인 급성 간염의 원인적 동향. 대한내과학회지.1999;57(2):352.
  9. 백종태,안병민,이동수,남순우,장성희,장이선 등. 식물제제에 의한 간 손상의 진단 척도의 문제점.
  10. 서정철,전원중,박성순,김석형,이기만,채희복 등. 급성 독성 간염 48예의 임상 경험. 대한간학회지. 2006;12(1):74-81.
  11. Hussaini SH, O'Brien CS, Despott EJ, Dalton HR. Antibiotic therapy a major cause of drug-induced jaundice in southwest England.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07;19(1):15-20. https://doi.org/10.1097/01.meg.0000250581.77865.68
  12. Whitehead MW, Hainsworth I, Kingham JGC. The causes of obvious jaundice in South west Wales: 2000. Gut. 2001;48(3):409-13. https://doi.org/10.1136/gut.48.3.409
  13. Bjornsson E, Ismael S, Nejdet S, Kilander A. Severe jaundice in Sweden in the new millennium: causes, inverstigations, treatment and prognosis. Scand. J. Gastroenterol. 2003 ;38(1):86-94. https://doi.org/10.1080/00365520310000492
  14. Vuppalanchi R, Liangpunsakul S, Chalasani N. Etiology of New-Onset Jaundice: How Often Is It Caused by Idiosyncratic Drug-Induced Liver Injury in The United States- Am. J. Gastroenterol. 2007;102(3):558-62. https://doi.org/10.1111/j.1572-0241.2006.01019.x
  15. Whitehead MW, Hawked ND, Hainsworth I, Kingham JGC. A prospective study of the causes of notably rais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of liver orisin. Gut. 1999;45:129-33. https://doi.org/10.1136/gut.45.1.129
  16. Lucena MI, Garcia-Cortes M, Cueto R, Lopez-Duran J, Andrade RJ. Assessment of drug-induced liver injury in clinical practice. Fundamental & Clinical Pharmacology. 2008;22(2):141-58. https://doi.org/10.1111/j.1472-8206.2008.00566.x
  17. Correia MA. 약물의 생체내 변화. Katzung BG. Katzung 약리학 제9판. 서울: 한국맥그로힐;2006, p.49-61.
  18. 안병민. 약인성 간손상의 진단과 치료. 대한간학회지. 2001;7(1s):45-63.
  19. 안병민. 급성 독성 간염: 원인산정법 적용의 실제에 대하여. 대한간학회지. 2006;12(1):1-4.
  20. 채희복. 약인성 간손상의 임상상 및 진단. 대한간학회지. 2004;10(1s):7-18.
  21. 이영근. Russian Comfrey의 성분조성에 관한연구.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life. 1995;5(2):11-7.
  22. 윤성민,이홍기,천종호,최인근,이대호,한지연 등. 폐암 환자에서 느릅나무 다린 물을 복용후 발생한 급성 독성 간염 및 신부전 2예. 대한내과학회지. 2003;65(3):S826-31.
  23. 김윤준. 약물 유인성 간염의 진단 및 치료.대한소화기학회. 간염. 서울: 군자출판사;1998, p.301-20.
  24. 전국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수 공저. 간계내과학 제4판.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2001, p.288-90.
  25. 이승희,이민수,송미덕.뇌경색 한방치료중 독성간염(약물유인성 간염)으로 추정되는 간기능 손상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5):869-72.
  26. 고흥,홍석철.한약과 양약의 장기간 사용에서 발생한 급성약물중독성 간염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9;20(2):427-34.
  27. 이은형,김상헌,박상은,송수진,서창운,이용태 등.한약과 양약의 병용 치료를 통한 약인성 간손상 치험례 1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1):285-90.
  28. 최홍식,정태영.생간건비탕을 이용한 급성 약 인성 간손상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4):207-11.
  29. 김용정,이승언,윤종민,박세욱,이민구,손지우 등.독성 간염과 간부전 소견을 보이는 황달환 자 치험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2005;19(6):1710-4.
  30. 정우상,박정미.만성 활동성 B형 간염에서 생간건비탕으로 혈청 aminotransgerase 수치가 저하된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2):337-9.
  31. 이승무,안일회,이언정,김동균,김동웅.급성부자 초오 중독에서 감두탕과 고삼의 응용. 대한한의학회지. 1993;14(2):399-405.
  32. Hu XP, Shin JW, Wang JH, Cho JH, Son JY, Cho CK et al.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CGX, an herbal medicine, against toxic acute injury in mice. J Ethnopharmacol. 2008;120(1):51-5. https://doi.org/10.1016/j.jep.2008.07.042
  33. 장인수.국립독성 연구원 보고서 "식이유래 독성 간염의 진단 및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다기관 예비연구"에 대한 분석 및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7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