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 섭취량에 따른 한의변증설문(DSOM)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DSOM According to Alcohol Intake

  • 홍상훈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정은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환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상은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홍수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창완 (동의대학교 데이터정보학과) ;
  • 이인선 (동의대학교 부인과학교실)
  • Hong, Sang-Hoon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Jung-Eun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Sung-Hwan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Park, Sang-Eun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Hong, Su-Hvun (Dept. of Internal medicin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ang, Chang-Wan (Dept. of Data Information Science, Dong-eui University) ;
  • Lee, In-Sun (Dept.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Dong-eui University)
  • 발행 : 2009.03.31

초록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DSOM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as a diagnostic method according to alcohol intake. Method : 49 men who drink alcohol over 40g per day and whose AUDIT scores were over 12 were allocated to the drinker group. 30 men who do not drink alcohol at all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non-drinker) group. The study period was from June 15, 2006 to September 30, 2008. All of both groups were analyzed using DSOM. Result :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drinker group and the non-drinker group in stagnation of Ki(氣滯), deficiency of Yin(陰虛), insufficiency of Yang(陽虛), heat syndrome(熱), dryness (燥), and lung(肺). A group whose gamma-GTP is over twice the normal condition shows meaningful difference in stagnation of Ki(氣滯), heat syndrome(熱), dryness(燥), and insufficiency of Yang(陽虛). Conclusion : We found out that DSOM can be a diagnostic method on alcoholic liver disease patients. However, other studies to supplement it should be continu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윤준. 알코올대사,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및 알코올성 간경변증. 소화기 연관학회 춘계학술대회. 2006;216-32.
  2. 황성규. 알코올성 간질환의 일반적 치료. 대한간학회 Single Topic Symposium. 2003;16-26.
  3. 정우진, 이선미, 한광협. 주종별 알코올의 사회 경제적 비용 추계: 술 주종과 사회경제적 비용의 연관성 연구. 大韓保健硏究. 2006;32(1):1-8.
  4. 이상재, 박종배, 이송실, 김광호. 陰虛證 측정도구의 개발 및 신뢰도 타당도 검정.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376-80.
  5. 김종원, 정성일, 김규곤, 이의주, 김종열. 이용태. 의사용 체질진단지의 타당화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 2006;20(1):209-14.
  6. 고호연, 김중길, 강병갑, 김보영, 고미미, 강경원, 설인찬, 이인, 조현경, 유병찬, 최선미. 한국형 중풍변증 표준안-II 에 대한 보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6):1789-91.
  7. 임현주, 김석환, 이상룡, 정인철. 화병변증도구 개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5):1071-7.
  8. 김숙경, 박영배. 寒熱辨證說問紙開發.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3;7(1):64-75.
  9. DSOM. 한방진단시스템,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copyright}$2005-01-122-004154, 동의대학교 (이인선,김규곤). http://www.dsom.or.kr.
  10. 김미진, 이인선, 조혜숙, 엄윤경, 유주희, 이용태, 지규용, 김규곤. 한방진단설문지 DSOM(r)S.1.1의 신뢰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5):1146-53.
  11. 이인선, 엄윤경, 김종원, 지규용, 이용태, 김규곤. 자궁근종 치료환자를 대상으로 한 DSOM 진단정확도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3):740-7.
  12. 이병욱, 이충헌, 이필구, 최문종, 남궁기.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AUDIT:Alcohol UseDisordersIdentificationTest)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중독정신의학. 2000;24:98-109.
  13. 이인선, 이용태, 지구용, 김종원, 전수형, 김규곤. 자궁근종 발생에 대한 DSOM 모든 변수의 연관성분석-대조군: 한방부인과 외래환자와 임상시험 피시험자-.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1):250-7.
  14. 中華醫學會肝臟病學分會脂肪肝和酒精性肝病學組. 酒精性肝病學診斷標準. 中華肝臟病雜誌.2003;11(2):72.
  15. 楊燕. 酒精性肝炎 72例臨床分析. 醫藥論壇雜誌. 2005;26(24):22-3.
  16. 변관수. 알코올성 간질환의 임상적 특징과 내과적 관리. 대학간학회지. 2002; 8권 부록:73-8.
  17. 이인선, 전란희, 김규곤. 한방부인과 진단설문지의 병기가중치 부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19-35.
  18. 천성수, 손애리. AUDIT척도에 의한 한국대학생의 알코올 사용장애 실태 및 원인 분석. 예방의학회지. 2005;38(3):307-14.
  19. Bahor TF, Fuente DL, Saunder JB, Grant M. 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health car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1989.
  20. 전국간계내과학교수. 간계내과학. 4판. 서울:동양의학연구원; 2001,p.3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