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Hydrography and Tidal Current in Hampyung Bay, the Western Coast of Korea

서해 함평만의 해수 물성구조 및 조류 특성

  • 이경식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 전수경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Published : 2009.04.28

Abstract

Characteristics of hydrography and tidal currents were investigated in Hampyung Bay through in situ CTD data, tidal currents and elevations. According to the seasonal weather variability, hydrography showed the lower density with high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in summer and the higher density with low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in winter. In particular, the thermal structure like a tidal front was formed along the central channel at the neap tide of summer. The critical value of the parameter $SH(=log_{10}(H/U^3)$ where H is depth and U is $M_2$ tidal current amplitude) representing the formation position of tidal front was estimated from 2.4 to 3.5. In addition, the potential energy anomaly $({\phi})$ was ranged between 0.985 and 6.998 Joule/$m^3$, which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mouth into the inner bay. This front may be caused by the unique topography with wide tidal flat and the local difference of tidal current strength. The observed tidal currents at the mouth of bay showed that the ebb time was shorter than the flood time with the increase of depth. This asymmetric ebb-tide dominance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idal distortion by the development of a shallow-water-constituent in Hampyung Bay with a wide macro-tidal flat.

함평만 해역에서 CTD, 조류 및 조석 자료를 이용하여 해수의 물성구조 및 조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지역 대기의 계절적 변화에 따라 수온, 염분은 여름철에 고온, 저염의 저밀도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겨울철에 저온, 고염의 고밀도 상태를 보였다. 특히, 여름철 소조기에 중심수로를 따라 조석전선과 유사한 수온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조석전선 위치를 나타내는 $SH(=log_{10}(H/U^3)$, 여기서 H는 수심, U는 $M_2$조류진폭)값은 2.4-3.5로 평가되었다. 또한 성층계수$({\phi})$는 0.985-6.998 Joule/$m^3$으로 내만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전선구조 발생은 함평만 내부의 넓은 갯벌을 포함하는 독특한 지형학적 특성과 조류 세기의 지역적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함평만 입구에서 관측된 조류는 수심이 증가할수록 창조시간 보다 낙조시간이 짧았다. 이러한 조류의 비대칭적인 낙조우세현상은 넓은 대조차 조간대가 분포하고 있는 함평만에서 천해조의 발달로 인한 조석 왜곡 현상 결과로 해석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환, 문승록, 안성모, 2002, 천해조 및 조간대가 발달된 하구에서의 부유사이동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4, 201-208
  2. 강주환, 송재준, 오남선, 1998, 낙조우세와 관련된 목포해역의 조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19, 185-193
  3. 국립지리원, 1983, 연안해역기본조사보고서(임자지구). 국립지리원 연안해역 기본조사 보고서, 70 p
  4. 김여상, 장진호, 1998, 한국 남서해안 함평만 조간대의 퇴적작용과 형성과정. 한국지구과학회지, 19, 664-674
  5. 농업진흥공사, 1989, 서남해안 간척지 개발사업 함해지구 간척지 개발사업 기본조사. 농업진흥공사 보고서. 465 p
  6. 류상옥, 유환수, 김민지, 문병찬, 1997, 한국 선해남부 함평만의 퇴적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19, 343-353
  7. 박용우, 조양기, 1999, 서해안 함평만의 조석에 관한 수치실험. 한국지구과학회지, 20, 380-387
  8. 승영호, 정정호, 박용철, 1990, 황해 중부의 조석전선과 연관된 해양학적 연구: 물리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25, 84-95
  9. 조양기, 최병호, 정홍화, 1995, 한국 남서해역 조석전선 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7, 170-175
  10. 조영철, 이경식, 변도성, 전송미, 이성환, 2001, 함평만 기초해황조사. 전라남도수산시험연구소, 248 p
  11. 조은주, 2006, 함평 조간대 내부 온도 변동 특성과 예측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 p
  12. 추용식, 이희준, 박은순, 이연규, 정갑식, 2000, 만 입구에서 부유퇴적물 거동과 플럭스: 한반도 서해 남부 함평만의 여름철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5, 105-118
  13. 추효상, 조규대, 1984, 1982년 하계 서해안 조석전선의 구조. 한국수산학회지, 17, 83-81
  14. 해양수산부, 1999,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보고서, 875 p
  15. Byun, D.S. and Cho, Y.K., 2006, Double peak-flood Curent asymmetry in a shallow-water-constituent dominated embayment with a macro-tidal fla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16613, doi:10.1029/2006GL026967
  16. Kasai, A., Rippeth, T.P., and Simpson, J.H., 1999, Density and flow structure in the Clyde sea front. Continental Shelf Research, 19, 1833-1848 https://doi.org/10.1016/S0278-4343(99)00042-4
  17. Simpson, J.H., Hughes, D.G, and Morris, N.C.G., 1977, The relation of seasonal stratification to tidal mixing on the continental shelf In Angel, M.(ed.), A voyage of discovery. Supplement to Deep-Sea Research, 24, 327-340
  18. Simpson, J.H. and Hunter, J.R., 1974, Fronts in the Irish Sea. Nature, 250, 404-406 https://doi.org/10.1038/250404a0
  19. Souza, A.J. and Simpson, J.H., 1996, The modification of tidal ellipses by stratification in the Rihne ROFI. Continental Shelf Research, 16, 997-1007 https://doi.org/10.1016/0278-4343(95)00042-9
  20. Yuasa, I. and Ueshima, H., 1992, A tidal front in winter influenced by river discharge. Journal of oceanography, 48, 239-255 https://doi.org/10.1007/BF02233985

Cited by

  1. The role of fluid mud in the formation of extensive mud sheets during summer on the Duuri macro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vol.22, pp.1, 2018, https://doi.org/10.1007/s12303-017-0063-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