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Wedding Food among Women in Busan Area

부산지역 거주 여성의 전통혼례음식 인지도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wedding food among the women living in Busan. It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caus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hem, which provides the data for a desirable wedding culture. A total of 270 samples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0 till 21 in 2007.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we used SPSS 14.0 to carry out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variance.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older one had more awareness of traditional wedding food. Especially the housewife had relatively more knowledge about Shinhyung-eumsik than any other occupa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Phaebak-eumsik is positively necessary for the wedding ceremony and simplification of wedding food is needed.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혼례음식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인지도 차이와 필요성을 조사하고자 부산시 15개 복지관에서 요리 강좌를 수강하는 20대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11월 10일부터 11월 21일까지로 총 300부를 배포하여 이중 293매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23부를 제외한 270부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분석방법은 통계 분석 시스템인 SPSS for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일월변량분석(One way ANOVA)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혼례음식 인지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에 따른 차이 검증은 혼례음식의 종류별로 봉치떡, 큰상음식, 신행음식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50대의 연령층에서 인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전통혼례음식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으나, 인지도에 비해 필요성에서는 혼례음식의 전통은 계승하면서 규범과 격식은 갖추되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혼례음식 본연의 뜻을 온전히 계승시키며 발전시켜 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